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2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가 만든 감염력 없는 바이러스 복제품, 코로나19 연구 속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록펠러대 교수. 록펠러대 제공 연구팀은 레플리콘이 바이러스가 세포 내에서 어떻게
작용
하며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성하는지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바이러스가 복제할 수 없는 단백질을 식별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실제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인간 단백질인 TMEM4 ... ...
'죽음의 질병' 당뇨병을 '관리하는 병'으로 바꾼 일등공신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단백질 구조를 조금씩 바꿔 몸속에서 분비되는 인슐린만큼 혈당 조절 효율도 뛰어나고
작용
시간도 긴 인슐린도 개발됐다. 인슐린을 체내에 주입하는 방식도 개선됐다. 오랫동안 환자들은 주사기로 병에 든 인슐린을 적정량 빼서 맞아야 했지만 이제는 인슐린이 일정량 들어 있고 바늘도 매우 ... ...
[인터뷰]“백신과 치료제 개발 바이러스 기초 연구역량 없이 달성 어려워...미국과 30년차"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에 따라 화학연은 로체스터대와 몸속에서의 백신
작용
원리와 이상 반응을, 스크립스연구소와는 세포 감염 경로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공동 연구를 수행한다. 화학연은 1990년부터 의약바이오본부를 설립하고 약물 합성 연구를 진행했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 ... ...
실리콘 태양전지에 한층 가까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납과 요오드 계열의 결함 등이 광흡수를 통해 만들어낸 광전하들을 가두는 트랩으로
작용
해 광전변환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신 교수 공동연구팀은 광전변환 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2차원 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와 광흡수층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밴드갭을 갖고 있는 3차원 구조의 ... ...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애용자 미군도 탐낸다는 초저궤도 위성
2021.10.15
일으키는 에어로졸 형태의 대기 부유물질이 많고 지구의 중력도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
하는 영역이라 인공위성을 띄우기에는 부적합한 지역으로 오랫동안 간주되어 왔다. 그렇다면 왜 최근 들어 초저궤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걸까? 이유는 높은 가성비 때문이다.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 ...
[과기원은 지금] GIST, 뇌성마비 환자의 보행재활에 승마 효과 입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15
보행 능력과 균형 능력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환자와 말 간의 물리적 상호
작용
을 데이터화해 그 원인을 밝혀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호춘 에너지공학전공 교수팀이 폐열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효율을 대폭 개선한 전기화학 열전지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 ...
[특별기고] 신기전의 DNA를 품은 누리호, 그 도전의 역사
2021.10.15
과학기술수준과 과학기술인의 능력이 최고의 수준임을 확인하는 기회로
작용
할 것으로 기대된다. 26년간 국산 중형 우주발사체인 누리호 개발을 위해 수조원의 연구비를 묵묵히 투자한 정부와 그동안 성원해주신 국민, 연구 현장에서 모든 열정을 불사른 연구원과 산업체의 기술자와 함께 ... ...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
과학동아
l
2021.10.13
협곡은 땅이 수로처럼 침식돼 생긴 지형으로, 고대 빙상에서 일종의 배관시스템으로
작용
했다. 터널 협곡의 폭은 300m가 넘을 정도로 거대했고, 터널 협곡 중상부에서는 에스커, 케틀 등 빙하가 만든 퇴적지형이 처음 발견됐다. 에스커는 빙하가 멈춘 상태에서 소멸할때 발생하는 둑 형태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스크립스연구소 교수에게 돌아갔다. 줄리어스 교수는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이
작용
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캡사이신의 수용체가 뇌에 전달해주는 신호는 사실 42도 이상의 뜨거움을 느끼도록 해주는 촉각 신호였다. 매운맛은 혀의 미뢰(taste bud)가 아니라 구강세포를 통해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물체를 잡듯 금속이온과 결합하는 화합물이다. 킬레이트가 강력하게 양이온과 상호
작용
하면서 전자를 쉽게 방출하게 해 배터리의 전하 이동속도를 크게 높였다. 그러면서도 음극 소재와는 반응하지 않아 계속된 충방전에서도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전해질이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