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력
강한 어조
가능력
뉴스
"
강력함
"(으)로 총 2,989건 검색되었습니다.
[KSF2019]“올해 2Q 전 세계 우주산업에 투자된 민간 주식투자액 1조5237억 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스페이스엔젤스 제공 올해 4~6월 전 세계에서 우주산업에 투자된 민간 주식 투자액이 약 13억 달러(약1조 5237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3월 이뤄진 투자액 16억 달러(약1조 8864억 원)보다는 조금 내려간 수준으로, 민간 우주산업에 대한 투자가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 ...
“젊은 과학자 키우려면 공평한 기회 주고 아이디어 존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2018 노벨상 수상자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大 교수 55년만에 탄생한 여성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의 조언 12일 서울대를 방문한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는 "젊은 연구자에게도 공평한 기회를 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신영 기자 “아직 자리 잡지 못한 연구자에 비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밀레토스의 그리스식 극장. 위키피디아 제공 칼 세이건의 역작 《코스모스》나 스티븐 와인버그의 《최종이론의 꿈》 같은 교양과학책을 보면 과학 이야기는 항상 고대 그리스로부터 시작한다. 이는 마치 우리가 우리 역사를 얘기할 때 단군신화부터 시작하는 것과 비슷하다. 서구 사람들에게 단 ... ...
사람 40배 힘내는 '무쇠 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시중에서 쉽게 구하는 재료 활용 외부 자극에 수축··· 팽창하며 힘 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이 개발한 섬유 인공근육은 잡아당기면 기존 길이보다 10배 이상 늘어나면서도 끊어지지 않는다. MIT 제공 김선정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는 이달 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사람의 ... ...
병원균 단백질 구조만 바꿨을 뿐인데…내성·독성 없는 항생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프랑스 연구팀이 황색포도상구균이 내놓는 독소 분자를 변형해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했다. 사진은 보라색으로 염색한 황색포도상구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2만 배 확대해 관찰한 것.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천연단백질의 구조를 바꿔 내성균 위험이 적은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할 수 ... ...
캘리포니아 20년 만에 대규모 강진 잇따라... '빅 원' 가능성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컨카운티 리지크레스트의 한 상점에서 지진으로 진열대에서 떨어져 깨진 와인병들이 바닥에 어지럽게 널려 있다. 전날 오후 8시 19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컨카운티 리지크레스트에서 18㎞ 떨어진 지점에 규모 7.1의 강진이 강타하면서 인근 마을 수천 가구에 전력 공 ... ...
반도체소재 국산화율 50% '제자리'…"日 특허·진입장벽 못넘어"
연합뉴스
l
2019.07.03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가 공식화된 가운데 국내 산업계가 일본과의 기술격차를 좁히지 못해 국산화를 사실상 진척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추정한 2017년 기준 반도체 소재의 국산화율은 50.3%인데, 올해도 그 수준에서 크게 ... ...
美 과학잡지 “한국 과학계 집안싸움으로 IBS 미래에 먹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전현직 원장·단장 릴레이 인터뷰 정치권 휘둘리는 한국 과학계 문화·예산 삭감 다뤄 한국 과학계 설득 실패한 태생 한계 지적 미국물리학협회(AIP)가 발행하는 과학 잡지 '피직스 투데이' 2019년 7월호가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IBS) 문제를 다뤘다. 사진제공 피직스 투데이 “한국의 기초과학연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투명하고 유리질인 고분자를 굽히거나 잡아당기면 금이 가거나 깨지기 직전에 종종 부분적으로 하얗게 된다. 이런 예측할 수 없는 현상을 크레이징(crazing)이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본다. - 고승환, ‘네이처’ 6월 20일자에 실린 해설에서 주간 과학저널인 ‘네이처’ ... ...
인류 달 착륙 50돌… 아직도 음모론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1969년 7월 2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인 버즈 올드린이 달에 착륙해 지진계를 설치하는 모습이다. 아폴로 11호 임무의 사령관이자 달에 첫발을 내디딘 우주인 닐 암스트롱이 찍었다. NASA 제공 올해는 인류가 달에 첫발을 내디딘 지 50주년 되는 해다. 1969년 7월 20일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