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구조와 유전자 변이 동시에 분석해 유전자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2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분자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애시드 리서치’ 14
일자
에 발표됐다. 개인의 질병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는 정밀의학기술로 현재 가정 널리 쓰이는 것은 차세대염기서열해독기술(NGS)을 이용한 분석이다. 많은 사람의 유전체를 해독한 뒤 건강 정보와 ... ...
지속적인 운동으로 생긴 장내미생물이 운동능력도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운동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24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5년 보스턴마라톤에 참가했던 선수 15명에게 마라톤을 시작하기 일주일 전과 마라톤이 끝나고 일주일 뒤에 각각 대변 샘플을 수집했다. 그리고 대변 샘플에 든 미생물의 ... ...
골다공증 원인 저칼슘혈증 일으키는 돌연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19
일자
에 실렸다. 인체에서 칼슘이 가장 많이 든 곳은 뼛속이다. 칼슘은 이온상태로 세포안팎을 다니며 신경계에 전기신호를 전달한다. 필요할 때마다 칼슘이온이 뼈에서 혈액으로 나와 늘 일정한 농도(2.2~2.7mmol/L ... ...
부작용 없앤 담석 용해제 개발...담석증 환자 '희소식'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중개의학저널’ 10
일자
에 게재됐다. 지방을 분해하는 소화효소인 쓸개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담도를 따라 쓸개로 이동해 저장된다. 담즙이 담도나 쓸개에 쌓여 돌처럼 굳으면서 생기는 게 담석이다. 담즙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 ...
'딱 한 잔인데 어때'는 안일한 생각…술 한 잔에도 운전중 인지능력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한 결과 인지능력과 순발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국제학술지 '중독생물학' 2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평소에 음주를 즐기는 건강한 사람 59명에게 맥주 반잔보다 조금 더 적은 술을 마시게 했다. 참가자의 체중 1kg당 0.4g에 해당하는 알코올을 마시게 했는데 이는 미국과 캐나다, ... ...
디스플레이 발광효율 높이는 ‘원편광’ 구현 신개념 설계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최석원 경희대 교수. 연구재단 제공. 디스플레이의 발광 효율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인 ‘원편광’을 더욱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 ...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6월 11
일자
에 게재됐다 ... ...
천식 발생과정 밝히는 ‘폐세포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환자 6명의 호흡기 세포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17
일자
에 발표했다. 폐는 기체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포도송이에 혈관이 얽혀 있는 것처럼 복잡한 폐포 구조를 띠고 있다. 공기 중 병원균이 가장 먼저 닿는 곳이 호흡기관이므로, 폐포의 면역세포들은 ... ...
UNIST "백금보다 효율 높은 새 연료전지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반응이 잘 일어나는 활성화 자리를 찾는 데 성공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13
일자
에 발표했다. 활성화 자리를 중심으로 촉매를 설계해 합성하면 연료전지에서 산소환원 효율이 훨씬 높을 전망이다. 연료전지는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생산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유롭게 장벽을 가로지르는 전자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2
구현해 전자의 '클라인 터널링 현상'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20
일자
에 발표했다. 클라인 터널링 현상은 서로 다른 두 물질 사이에 분명히 장벽이 존재하지만 입자가 장벽에 튕겨나가지 않고 오히려 장벽이 없는 것처럼 통과하는 현상이다. 1929년 스웨덴 물리학자 오스카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상공에서 15.5ppbv가량의 메탄을 검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4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1-019-0331-9 지우라나 연구원은 “큐리오시티 역시 이보다 하루 전인 2013년 6월 15일 이 지역에서 메탄을 최초로 포착했었다”며 “게일 크레이터에서 동쪽으로 약 480km 떨어진 지역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