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천문"(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4월 추천 과학체험] (1) 과학관에서 축제가?동아사이언스 l2017.03.30
- · 일시 : 2017년 4월 8일(토)~9일(일) · 장소 :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야외 광장 및 천문대(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 내용 : 우주‧환경‧생태 주제의 과학체험부스(일부 프로그램 온라인 사전신청 필요) · 행사참가비 : 무료 · 전시관람료 : 무료 · 문의 : 02-881-3000 · 홈페이지 : http:/ ... ...
- 태양 기후 결정하는 ‘태양 행성파’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7.03.28
- 도는 3개의 인공위성의 관찰결과를 토대로 태양 행성파의 존재를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 27일자에 발표했다. ‘로스비 파(Rossby wave)’라고도 불리는 행성파는 큰 길이와 폭을 가진 편서풍 파장을 의미한다. 약 상공 5㎞의 고도에서 부는 바람으로 거대한 공기의 흐름이 지구의 ... ...
- 우표 속에 우주가...‘오로라 우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7.03.20
- 담은 천체사진 10종 기념우표를 21일 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행되는 우표는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 공모전 수상작을 담은 것으로 오로라, 말머리성운, 삼각형자리은하, 보데은하, 시가은하, 오리온성운, 러브조이혜성, 플레이아데스성단, 장미성운, 은하수 등으로 구성됐다. 형광잉크로 ... ...
- 아이슬란드의 분화구 호수와 밤풍경팝뉴스 l2017.03.19
- 통해 자신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듯 하다. 사진은 최근 미국항공우주국 NASA가 오늘의 천문 사진으로 선정한 것을 계기로 해외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이미지다. 촬영 장소는 아이슬란드이다. 이 사진이 특별한 것은 하늘에 수많은 별과 은하 그리고 오로라가 아름답게 수놓아져 있기 때문이다. ... ...
- 광속 20% 초고속 우주선, 작은 먼지 입자에도 파괴 위험동아사이언스 l2017.03.15
- 충돌하면 충돌 지점이 가열돼 우주선 표면이 녹아 용융물이 되며 구덩이가 생긴다.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입자 충돌로 강철 표면 녹아…그래핀 등 탄소 소재가 파손 적어 지구에서 알파 센타우리까지 가는 우주선의 경로에 존재하는 입자 수는 약 1023개로 나타났다. 입자의 분포 데이터를 ... ...
- 거대질량블랙홀의 탄생 비밀...주변 은하 덕분에 덩치 키웠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4
- 어떻게 생길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세워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계산한 결과를 천문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애스트로노미 최신호에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거대질량블랙홀은 주변에 있는 다른 은하의 영향을 받아 거대한 질량을 모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 ...
-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03.07
-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피직스’ 1월 23일자에 밝혔다. 목성 대기 흐름은 천문학계에서 아직도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다. 상층 대기에 보이는 제트기류가 가스로 이뤄진 목성 내부에도 존재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만약 내부에도 제트기류가 존재한다면 목성의 내부 구조를 밝힐 ... ...
- ‘NASA 여성 우주 개척자들’ 레고 인형 만든다팝뉴스 l2017.03.03
- 2012년 사망한 그녀는 물리학자이자 우주비행사였습니다. 또 다른 모델인 낸시 로먼은 천문학자로서 NASA 최초의 여성 관리자로 기록되어 있으며 허블 우주망원경 계획을 주도해 ‘허블의 어머니’로 불립니다. 이외에도 흑인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캐서린 존슨, 컴퓨터 과학자 마가렛 해밀턴, ... ...
- “블랙홀, 너의 진짜 모습을 보여 줘”동아사이언스 l2017.03.03
-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프로젝트에 활용되는 9곳의 천문대 중 하나다. 한국천문연구원은 ALMA와 미국 하와이 섬의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JCMT)’을 통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 위키미디어 ... ...
- [타운미팅] 별명 부르고 난상토론…‘1인 1발언권’ 민주주의를 경험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2.26
- 타운미팅에서 나온 의견들. - 변지민 기자 제공 ※참가소감 1. 박승현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4학년(별명 ‘길잡이’) “내가 생각하는 과학은 이성적,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소통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이 한국 사회에 널리 퍼졌으면 하는 마음에 ‘우주라이크’라는 과학대중화 활동도 하고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