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70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뉴턴, 갈릴레오. 위키미디어 제공 뉴턴이 《프린키피아》로 운동법칙을 구축하고
태양
계 행성운동 등을 성공적으로 설명하자 뉴턴의 방법론을 따라 다른 분야에도 적용하려는 흐름이 생겨났다. 이를 뉴턴주의라고 부른다. 1784년 발견한 쿨롱의 법칙은 전기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법칙으로서 ... ...
[영상+]주요 관계자들이 말하는 천리안2B호 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다시 6분 뒤인 55분 호주 야사라가 관제소와 첫 교신을 했다. 발사 약 한 시간 뒤에는
태양
전지판을 펼칠 예정이다. 현재 천리안2B호는 지구 주변을 가까울 때는 약 250km, 멀 때는 약 3만 5800km 떨어진 채 긴 타원형 궤도로 돌고 있다. 약 2주 뒤에는 3만 6000km 상공을 도는 원형 궤도로 궤도를 수정하고, ... ...
천리안2B호 발사 성공…’동영상’ 관측으로 대기·해양 환경 감시 역량 높인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발사 성공을 판가름하는 첫 번째 관문”이라며 “첫 교신과 발사 1시간 뒤로 예상되는
태양
전지판 전개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위성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천리안2B호는 지구 주변을 가까울 때는 약 250km, 멀 때는 약 3만 5800km 떨어진 채 긴 타원형 궤도로 ... ...
환경·해양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B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발사 성공을 판가름하는 첫 번째 관문”이라며 “첫 교신과 발사 1시간 뒤로 예상되는
태양
전지판 전개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위성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사 뒤 2주 정도가 지나면 표류궤도(정지궤도에 거의 근접한 궤도)에서 고도를 높이고 한반도 상공인 ... ...
"미세먼지 감시부터 해양재난 감시까지" … 세계 첫 환경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B 임무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20여 가지 대기오염물질도 들여다볼 수 있다. 환경탑재체의 대기오염물질 관측 방법.
태양
빛을 받으면 물질마다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이 원리를 활용해 지구 대기에 반사된 빛을 분석해 대기에서 어떤 파장의 빛이 흡수됐는지를 알아내고, 관측 지역에서 어떤 대기 오염물질이 ... ...
천리안2B호 사업단장 "천리안1호 개발 때 서러움 다시 겪지 말자는 각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개발하면서 자긍심 갖게 됐다. 기술 측면에서 우수한 면도 많다. 일반적인 통신위성은
태양
전지판을 양쪽에 날개를 펼친 형태로 갖는데 우리는 한쪽 날개만 펼친 형태다. 한쪽 날개만 있다는 것은 비대칭제어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제어하는 기술은 고난이도 기술이기 때문에 다른 통신위성 ... ...
[영상+]“준비는 끝났다” ‘천리안2B호’ 발사 D-1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1차적으로 위성 발사의 성공 여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이벤트다. 이후 발사 1~2시간 뒤에
태양
전지판 전개까지 마치면 발사 당일 확인할 수 있는 절차는 모두 끝난다. 이후 약 2주 뒤 위성을 동경 128.2도 위치에 정확히 보내면 본격적인 시험운용이 시작된다. 최 단장은 “위성 연료의 70%를 위성을 제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5’호에 실려 발사됐다. 2015년 7월 왜소행성인 명왕성을 탐사했다. 이후 계속해서
태양
계 바깥으로 날아가 카이퍼벨트를 비행해 왔다. NASA에 따르면 뉴호라이즌스호는 현재 지구로부터 76억 ㎞까지 멀어진 상태로 시간당 5만 400㎞의 속도로 카이퍼벨트를 탐색하고 있다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쪽에는
태양
전지판을 달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런데 한쪽에만 달린
태양
전지판에
태양
풍 등이 가해져 위성의 자세가 뒤틀리거나 궤도에서 차츰 밀려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위성 본체의 자세제어 기능이다. 겉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위성 본체 내부의 5개 휠 중 4개는 항시 ... ...
30년 전 우주에서 포착된 '창백한 푸른 점'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카메라의 전원을 끈 보이저 1호는 긴 여행을 거쳐 2012년 8월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최초로
태양
계 밖 성간 공간에 들어섰다. 1977년 발사된 보이저 1호는 발사된 지 43년이 지났음에도 우주선(線)과 플라즈마를 관측하는 장비, 자력계와 저에너지 하전 입자 관측기 등을 가동하며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