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귀"(으)로 총 1,2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10
- 나가면 죽는 민물고기가 어떻게 대양을 건넜을까. 다윈 역시 머리가 아팠다. 창조론자의 귀에 들어가면 공격을 면치 못할 사안이었 기 때문이다. 고민 끝에 다윈은 여러 가설을 세운다. 살아있는 물고기가 맹렬한 회오리바람에 날아갔을 것, 알이 떠내려갔을 것, 예전에는 바다에 살았던 어류가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10
- 가보지 못하면 심부름꾼이라도 보내야 한다. 태양계 끝이 궁금한 인류 역시, 대신 눈과 귀가 돼 줄 작은 탐사선 하나를 우주로 쏴 보냈다. 바로 나, 2006년 1월 발사한 미국의 ‘뉴호라이즌’ 호다. ‘뉴호라이즌’이라는 이름은 ‘새로운 지평선’이라는 뜻이다. 나는 장장 9년 반의 여정 끝에 2015년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과학동아 l201410
- 수준은 놀라웠다. 올해 대상을 수상한 서울과학고 MacTosh팀(이명환, 함재훈, 지도교사 이상귀)의 연구를 살펴보자.세 팀 모두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끈기 있는 자세가 돋보였다. MacTosh팀의 함재훈 학생은 “2차 전지의 확대막 재질이나 화학반응 같은 정보는 기업 기밀이라 알기 어려웠다”며 “전지를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머리카락은 하얘지고 허리는 굽어가지. 가까운 곳은 보기 힘들어지고 작은 소리는 귀가 무시해 버려. 이런 눈에 띄는 변화 말고도 몸속 여러 장기가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하는 탓에 병에 걸리기도 쉽단다. 그나마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간과 심장은 나이 들어서도 제 기능을 하지만, 혈관이나 ...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수학동아 l201409
- 무엇이 똑같을까~ 젓가락 두짝이 똑같아요~.”젓가락 외에도 눈과 귀, 손과 발, 쌍둥이 등 우리 주변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똑같이 생긴 물건들이 많다. 이중 수학적으로 똑같은 건 무엇일까? 수학에서 똑같다는 것은 무엇인지, 똑같은 것을 어떻게 표기하는지 알아보자.합동 기호 ≡의 원조,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09
- 1956~)누구나 쉽게 배우는 언어, 파이선을 만들다!네덜란드 출신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귀도 판 로썸은 1991년 ‘파이선’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했다. 로썸은 파이선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언어로 만들기 위해, 코드의 구조나 규모를 최대한 간단하게 쓰려고 노력했다. 파이선은 전체를 ... ...
-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과학동아 l201409
- 따르면, 총성이 울리고 0.1초 안에 출발하면 부정출발이다. 소리가 스피커에서 출발해 귀를 거쳐 뇌에 전달되는 시간 약 0.08초에, 근육에 ‘뛰어라’라는 명령이 전달되는 데 걸리는 0.02초를 더하면 0.1초가 총성을 듣고 뛸 수 있는 최단 시간이 된다는 논리다. 하지만 반론도 있다. 0.1이라는 숫자는 ... ...
- Wild Life 자연의 강렬함을 마주하다과학동아 l201408
- Wild Life자연의 강렬함을 마주하다광활한 고원에서 마주친 수컷 겔라다개코원숭이. 작가는 숨을 죽인 채 귀를 땅바닥에 대고 옆으로 조심스레 드러눕는다. 풀을 뜯는 ... 치열한 경쟁을 뚫고 1등을 차지했다. 기준이 너무 주관적이라고? 어찌하겠는가. 저 귀엽고 예쁜 눈에 반해버렸는데 ... ...
- 아이디어 발전소1 - 귀로 말하는 이어폰과학동아 l201408
- 귀에 꽂는 스피커 속으로 넣은 것이다. 겉으로 보기엔 마이크가 없지만, 이어폰만 귀에 꽂아도 통화가 가능하다. 주변 소음은 전달되지 않는다.‘이어톡’이라는 이름을 붙인 제품은 호평받았지만, 정작 문제는 따로 있었다.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특허 등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거나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08
- 살충제를 들고 매의 눈으로 방을 훑으며 모기와 싸우고 있노라면 ‘물려도 가렵지 않고, 귀에서 시끄럽게 굴지 않으면 얼마든지 피를 내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물밀듯 밀려온다. 하지만 설령 가렵지 않더라도 문제는 질병이다. 모기는 병원성 바이러스를 비롯해 원충, 선충을 매개하는 능력이 다른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