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제34화 가을은 운동회지~!수학동아 l201610
- 달리기 경기 코스를 준비해 친구들에게 소개했다.현경이가 준비한 달리기 코스는 다음 그림과 같다. 어떻게 경로를 짜야 릴레이 달리기 경기를 할 수 있을까? (단, 한 번 지나간 경로는 다시 지나가지 않는다.)수학문제연구회 학생들은 농구와 축구 대회를 하기 위해 ‘가’팀과 ‘나’팀으로 팀을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10
-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해도 모양은 변하지 않고 크기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다음 그림에서 사면체 A′B′C′D′은 사면체 ABCD를 2배로 확대한 것이다. 이때, 두 사면체 ABCD와 A′B′C′D′는 ‘서로 닮음인 관계에 있다’ 또는 ‘서로 닮은 도형이다’라고 한다. 2. 시어핀스키 삼각형과 시어핀스키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10
- 통해 779년 경주에 발생한 지진의 강도와 운동을 추측한 연구도 나왔다(아래 그림). 이번 지진의 또 다른 키워드는 전조현상이다. 일부 사람들이 전조현상이라고 꼽는 대상에는 지하수 변화, 동물들의 이상행동, 지진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번에는 특히 지난 7월 부산에서 신고된 가스냄새가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10
- 비쳐 보인다.근육의 독특한 주름 무늬게다가 홍채는 고유한 주름무늬를 가지고 있다(54쪽 그림). 홍채의 표면을 보면 동공과 홍채가 만나는 경계(소홍채륜)에 주름이 진다. 주변에 고리띠라고 부르는 고리모양의 융기가 있다. 꼬불꼬불하고 홍채 중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이다. 또 홍채가 끝나고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10
- 엘리트 과학자들이었다.두 집단의 공저자 네트워크 형태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왼쪽 그림 참조). 노벨상 수상자들의 공저자 네트워크는 중심에 자리 잡은 네트워크의 덩어리가 크고, 소집단이 적었다(40개). 이런 네트워크에서는 정보가 더 빠르게 전파된다. 반면 다른 엘리트 과학자들의 공저자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10
- 윤환과 마찬가지로.윤환은 총구를 아래로 내리고 천천히 돌아섰다. 소리 없이 움직이는 그림이 눈에 들어왔다. 화면 좌우에는 이제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는 문자와 숫자가 흐르고 있었다. 유형지 네트워크가 닿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영상을 보고 있을 터였다. 윤환은 이어지는 내용을 ... ...
- Part 3. 천사, 악마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09
- 특정한 함수로 만든 경로를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 단순한 방법으로요.오른쪽 그림처럼 두 경로가 있을 때 둘 다 장점이 있지만 클로스터가 개발한 함수에 따르면 ‘경로1’보다는 ‘경로2’를 고르는 게 천사에게 더 유리해요. 경로2는 경로1보다 경계선이 변 4개만큼 더 길지만 악마가 불태운 칸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09
- 기능 중 하나인 언어 기능과 관련성을 확인해보면 대략 구역의 기능을 구분지을 수 있죠. 그림 c와 d에서는 특정 영역과 연결된 정도를 보여줍니다. 55b 영역이 수초가 적은 PSL 영역과는 연계성이 높은 반면, 수초가 많은 LIPv영역과는 연계성이 낮은 것이 한눈에 보이죠. 주변의 다른 영역과 뚜렷이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09
- 위로 갈수록 기둥의 높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높이의 한계도 명확하다. 이 교수는 “만약 그림 속 바벨탑을 같은 방식으로 계속 쌓는다면 11~12층 정도에서 건설을 멈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 층의 높이를 넉넉하게 15~20m로 잡는다고 하더라도 현대의 기준으로 아주 높은 건물로는 볼 수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09
-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수도권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검증했다. 한 예로 아래 그림은 평일에 나타나는 쇼핑활동의 분포를 시간대별로 분석한 결과다. 오전 9시에서 오후 7시 사이에 쇼핑활동이 이뤄지며, 오전은 11시, 오후는 3~5시에 가장 많다. 이렇게 특정 목적을 위주로 통행을 파악하면 그 다음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