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낮은말"(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과학동아 l201404
- 1. 초미세먼지라는 말 잘못됐다(학계에서 초미세먼지는 1.0μm 이하를 뜻해)미세먼지의 크기를 놓고 혼란이 많다. 일기예보에 나오는 미세먼지 경보는 지름이 10μm 이하인 먼지를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지름 2.5μm 이하의 먼지만 미세먼지(fine particles)라고 부른다. 초미세먼지(ultra fine ... ...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과학동아 l201404
- 태초에 빅뱅이 있었다. 미국 인기 드라마 ‘빅뱅이론’의 주제가처럼 전 우주가 빅뱅에서 시작됐다. 빅뱅의 순간인 ‘0초’에 우주는 너무나도 작았다. 빅뱅 후 굉장히 짧은 찰나에 우주가 엄청나게 커졌다. 숫자로 이야기하면 ‘1억분의 1억분의 1억분의 1억분의 1초’보다 짧은 시간(10-37초부터 10-3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04
- 1월 16일, 전북 고창의 한 오리농장에서 신고가 접수됐다. 오리들이 알을 낳는 횟수가 크게 줄었다는 신고였다. 다음 날 방역당국은 오리들이 AI에 걸렸다고 발표했다. 이후 20일도 지나지 않아 AI는 전남, 충남, 경기, 충북, 경남 등 전국 곳곳으로 퍼졌다. AI 바이러스는 짧은 시간 동안 어떻게 퍼진 걸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03
- 운석 충돌 후 새로운 식물이 많이 자라기 시작했다. 주로 고사리 같이 생기고 매우 질긴 식물들이었다. 옛날의 꽃식물에 비해 영양가가 부족한데다가 추울 때는 시들어서 초식공룡 수가 먼저 줄었다. 육식공룡도 같이 고전했지만 차츰 적응해 나갔다. 식성을 바꾼 것이다.다행히 육식공룡의 강한 이 ... ...
- 커피와 와인 마셔, 말어?과학동아 l201403
- “커피, 설탕, 크림을 3숟가락씩, 333해서 가져와!”어르신께 “어떤 커피를 드릴까요?”라고 여쭈면 이런 주문을 종종 받는다. 이렇게 드셔도 건강에 이상이 없을까하는 걱정이 앞선다.그런데 커피가 40대 이후에 주로 발병하며 전체 당뇨병의 80~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낮춘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03
- 현대 공룡 연구의 대세는 뭘까. 새로운 공룡을 발견하는 것? 그렇지 않다. 요즘 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은 공룡의 생태를 밝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거대한 육식공룡이 얼마나 빨리 뛸 수 있는지, 얼마나 강하게 먹이를 무는지, 가족을 이뤄 생활했는지, 사냥을 어떻게 했는지, 지 ... ...
- [만화뉴스] 자존감이 낮은 학생에게 과도한 칭찬은 금물!수학동아 l201402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칭찬을 무조건 많이 할수록 학생들의 학습 능력도 향상될까? 의외로 지나친 칭찬은 아이들의 학습 능력에는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심리과학 저널에 발표됐다.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심리학 박사인 에디 브럼멜맨 교수 합동 연 ... ...
- [수학뉴스] 쌍둥이 소수 추측, 서서히 결말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402
- 쌍둥이 소수 추측에 관한 오랜 수학계의 퍼즐이 서서히 맞춰질 기미가 보인다. 쌍둥이 소수란, 두 수의 차가 2인 소수의 쌍을 의미한다. 낮은 수에서는 쌍둥이 소수를 발견하기가 쉽지만, 수가 커질수록 발견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수학계에서는 이런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01
- Richtig[리히티히] 맞아! 내가 바로‘ 요하네스 케플러’야.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조차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때, 행성들이 태양을 타원궤도로 돌고 있다는 것을 발표한 위대한 천문학자지. 그런데 요즘 나의 흥미를 끄는 것은 천체가 아니라 아주 작은 눈꽃이야. 아름다운 눈꽃 속에 ...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01
- 개구리도 다람쥐도 따뜻한 봄을 기약하며 깊은 잠에 빠져드는 이 추운 겨울, 왜 사람만 유독 손발을 오들오들 떨면서 바쁘게 일해야 할까. 사람도 개구리랑 다람쥐랑 함께 겨울잠을 자다가 따뜻한 봄바람이 불 때쯤 일어나면 안 될까. 문득 한 가지 의문이 든다. 겨울잠을 못 자는 걸까 안 자는 걸까.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