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킨토시
mac
소아복
맥킨토시
진맥
검맥
맥락
d라이브러리
"
맥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02
센서가 들어있으며, 구별해낼 맛에 따라 8개의 센서를 조합해 판별한다. 전자혀를 개발한
맥
사이언스의 김종학 이사는“위스키 20종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위 여부를 2분 이내에 판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02
역사를 영상으로 끄집어낼 수 있다면 그 얼마나 소중한 유산이 되겠는가. 우리 역사의
맥
과 의미를 후손들이 길이 간직할 수 있으려면 디지털 복원이 문화재 복원의 큰 흐름을 이뤄야 한다. 지금은 존재하지 않거나 불완전한 문화재를 과거의 사료와 고증을 거쳐 다시 탄생시킬 수도 있고, 현재의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12
끌려간다. 그 후 간호사들이 주는 알약에 의해 점점 무기력한 인간으로 변해간다.
맥
머피의 동료였던 인디언 추장은 옛 동료의 비참한 모습을 지켜보며 그를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일을 행한다. 그것은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잃어버린 채 숨쉬는 고깃덩어리로 전락한 친구에게 인간다운 죽음을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11
힘을 발휘할 수 있다(그림 1). 그러나 걸쳐진 상태에서 받는 부러뜨리는 힘(휨력)에는
맥
을 못춘다. 왜냐하면 부러뜨리는 힘은 벽돌 아래 면에 늘어나려는 힘(인장력)을 발생시키는데, 돌은 재료의 특성상 인장력에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아래쪽이 터져 결국 부러지고 만다. 선철 또한 돌처럼 ... ...
핸들 잡은 채 자동차 히터켠다
과학동아
l
200110
된다. 이 움직임을 천장에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가 알아채고 차내 장치를 조작한다.
맥
케냐 박사가 개발한 시스템은 앞으로 2년 내에 실용화될 전망이다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08
영화 중간에 선보이는 뮤지컬적인 요소는 감정이 풍부하고 흥겨운 미국 만화영화의
맥
을 유지하고 있다.섬세하고 정교한 표현과 꽉 짜여진 이야기 구조를 지향하는 파이널 환타지, 재치와 유머, 뒤집기나 패러디를 주종목으로 하는 슈렉은 같은 3D 영화이면서도 판이하게 다른 민족성을 나타내는 ... ...
화성 물의 존재 말하는 새 지형 발견
과학동아
l
200107
화성의 원추형 지형이 나타난 시기는 1천만년 전보다 더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됐다.
맥
이웬 박사는 “지하얼음이 수백만년 전 5m 정도 깊이에 존재했다면, 현재는 10m가 넘지 않는 정도의 깊이에서 살아남아 있을지도 모른다”고 추정했다.화성에서 미생물을 기대한다면 추운 극지역보다 따뜻한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03
삽입된 인공적인 유전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했다.1977년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알란
맥
삼과 웰터 길버트,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거(왼쪽)는 DNA 염기 배열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게놈 연구가 본궤도에 오른 것이다. 한편 바이러스의 DNA가 최초로 해독됐다.1984년 미국 시터사에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01
발생한 것일까. 학자들은 구들의 시작이 인류가 불을 발견해서 이용한 불의 역사와
맥
을 같이 한다고 말한다. 원시인은 동굴이나 움막에서 음식을 요리하고 추위를 면하기 위해 한가운데에 모닥불을 피웠다. 그리고 그 주위에 돌을 세워 바람막이를 해 불을 오랫동안 보존해야만 했다. 그러다가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과학동아
l
200012
검증만이 강조됐던 실증주의적 과학철학의 입장을 벗어난 것이었다. 관찰자와 관찰의
맥
락, 그리고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에 의미를 부여하는 보어(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입장은 당시 양자역학의 현상들을 탈뉴턴적 입장에서 조망해야 했던 하이젠베르크와 그의 동료들에게 중요한 출발점이었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