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d라이브러리
"
튜브
"(으)로 총 38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11
탄소나노
튜브
가 수용액에서 단일 분자막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탄소나노
튜브
는 강철보다 100배가량 강도가 높아 비행기 동체를 만들 수 있고 반도체와 나노로봇을 만드는 데도 쓸 수 있어 나노기술 분야의 팔방미인으로 평가받는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 ...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과학동아
l
200811
잘하는 사람이라도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할 때는 직접 물에 뛰어들지 않고 멀리서 고무
튜브
나 나무 조각을 던져주는 것이 응급구조의 상식이다.흔히 사람이 죽으면 약 12시간 뒤 관절이 딱딱하게 굳는 시체경직이 온다. 이때 경직 강도는 의자에 시체를 걸쳐놓고 그 위에 어른 4명이 올라앉아도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10
분산돼 몸에 멍이 심하게 들거나 장기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반면 탄소나노
튜브
는 벌집 모양의 탄소 그물이 원통형으로 둥글게 말려 있어 실탄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 부상의 위험이 적다.한편 한국군의 새 방탄헬멧에는 주위 환경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특수한 도료나 나노섬유 ... ...
[첨단기술]로봇에 부드러운 피부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809
이용한 회로보다 작동 속도는 더 빨랐다. 하지만 소메야 교수는 “탄소나노
튜브
를 이용하면 회로 작동 속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물리적으로 더 튼튼해 로봇 피부에는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이 소재를 이용해 로봇 피부를 만들 계획이다. 압력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 ...
'달 먼지'로 만든 망원경
과학동아
l
200808
2.4m)과 동일한 규모의 망원경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구에서 에폭시 수지 60kg, 탄소나노
튜브
1.3kg, 그리고 알루미늄 1g만 가져가면 된다. 달 먼지는 600kg이 필요한데, 달에서 바로 구할 수 있다.첸 박사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이지 않고 저렴하게 달에 망원경을 건설할 수 있다”며 “지구보다 ... ...
우주도 식후경, 잘 먹겠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
러시아의 게르만 티토프야. 보스토크 2호를 타고 25시간 동안 지구를 17바퀴 돌면서
튜브
용기에 든 크림과 젤리를 점심과 저녁으로 먹었지. 그 때만 해도 우주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을지, 음식의 가루가 날리면 어떻게 될지 많은 걱정을 했기때문에 음식의 맛은 생각조차 하기 힘들었어. 하지만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07
모습을 알면 조기 진단이 가능할 텐데 말이다.고민 끝에 그는 혈관과 비슷한 재질의 고무
튜브
를 이용해 혈관 모형을 직접 만들었다. 그리고 모형에 혈압과 똑같은 압력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혈관이 약해지는 과정을 그대로 재현했다. 덕분에 혈관이 터지기 전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알게 ... ...
나노물질이 스스로 만든 황금 공
과학동아
l
200807
기름과 친한 탄소나노
튜브
쪽이 바깥쪽으로 향하기 때문이다.연구자들은 탄소나노
튜브
와 금나노선 사이에 자성체인 니켈을 넣은 복합나노물질도 만들었다. 이 물질로 만든 공이 들어 있는 용기에 자석을 갖다 대자 기름방울을 싸고 있는 공이 자석 쪽으로 이동했다.아자얀 교수는 “나노물질이 ... ...
컴퓨터에서 탄소나노
튜브
실험한다
과학동아
l
200806
강철보다 100배 이상 강도가 뛰어나고 구리보다 1000배나 전기를 잘 흐르게 해 ‘꿈의 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
튜브
. 1991년 일본의 이지마 스미오 박 ... 나노소재를 미리 ‘디자인’한다는 것. 도전을 강조하는 그의 목소리에서 ‘완벽한 탄소나노
튜브
’를 만날 날이 머지않았음이 느껴진다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05
만드는 현상이다.과학자들은 그동안 회로 소자에 사용할 자기조립물질로 탄소나노
튜브
같은 나노소자를 이용하는 방법을 찾아왔다. 이 방법으로 2020년쯤 회로선폭 10nm의 벽을 넘을 수 있다고 기대한다.하지만 염 단장은 그 이후를 바라보는 연구를 하고 있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이론적으로 가장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