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멸
섬멸
괴멸
소멸
d라이브러리
"
멸망시킴
"(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과거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 그러나 대멸종 시기에 단 한마리도 살아 남지 못하고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지구 역사상 이와 같은 대멸종기가 5번이 있었다. 그런데 현재 그 어떤 때보다도 혹독한 대멸종기가 시작됐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우리나라의 옛날 얘기에는 유난히 호랑이가 많이 등장 ... ...
왜 과학자는 과거 기후를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중생대를 지배한 공룡은 어느 순간 몰락했다. 이에 관한 유력한 설은 소행성충돌로 인한 지구의 갑작스런 기후변화다. 그렇다면 인류는 앞으로 얼마나 지구 지배자로서의 영광을 누릴까. 이에 대한 비밀이 과거 기후에 담겨있다는데…. 왜일까.우리는 앞으로 기후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 ...
마야문명의 유력한 멸망 원인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화려한 문화를 누렸던 고대 마야인들이 갑자기 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5월 18일자 사이언스지에 따르면 태양활동의 주기적인 변화로 인한 가뭄 때문이라고 한다.미국 플로리다대 호델 교수팀은 마야문명의 발원지인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위치한 치칸카납 호수의 퇴적층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소행성은 두얼굴을 가진다. 끔찍한 재앙인가, 엄청난 자원인가는 전적으로 인류의 노력에 달렸다.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 핵폭탄을 능가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소행성들을 다 모아 가치를 따져 지구상의 사람들에게 각각 나눠주면 한사람당 1백20조원씩이 돌아간다는데….1994년 7월 슈메이커-레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풍성한 추석 무렵은 달빛아래 모여 이야기보따리를 풀기에 가장 좋은 때다.아폴로우주선이 달에 착륙하기 훨씬 전 신화시대에는 달 속에 토끼말고도 두꺼비가 살았다고 한다.또 한가위의 기원은 신라의 전승기념일이라고도 하는데…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그루 토끼 한마리…. ... ...
노빈손의 아마존 어드벤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세상에서 물과 나무가 가장 많은 곳, 아마존. 거기엔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동물이 있고, 가장 큰 파충류와 곤충이있으며, 가장 많은 물고기와 새들이 있다. 또 아마존은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이야기들을 품고있는 환상과 신비의 땅이다. 천지창조의 내력, 인간으로 변하는 돌고래, 강과 바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50여년 전 미국에서 사라졌던 회색늑대가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부활하고 있다.1995년부터 이곳에 풀어준 37마리의 늑대가 이제는 1백70여마리로 늘어난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에버랜드동물원이 중심이 돼 1994년부터 6마리의 산양을 월악산에 풀어줬다.과연 월악산 산양도 옐로스톤의 회색늑대처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과거 20세기에 출간된 SF명작들은 새천년의 세계상을 흥미롭게 그려내 왔다.미래 세계를 전망하는 많은 글에서 SF소설 한두가지는 약방의 감초처럼 소개되고 있다.그러나 한번쯤 제목은 들어봤지만 직접 구독할 기회를 놓친 독자가 적지 않다.과학동아가 신년부터 마련한 연재물 'SF명작 다이제스트'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약은 병을 고쳐주는 화학 물질이다. 소독약으로 쓰이는 과산화수소수부터 암치료제인 탁솔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화학 물질이 인류의 건강생활과 밀접한 인연을 맺고 있다. 이제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의약품들이 풀어내는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자.내 사망 요인 1위가 암이라는 뉴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소행성의 영어이름 Asteroid에는 '별과같은'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다른 행성처럼 태양 주위를 돌지만 크기가 너무 작아 망원경으로 보아도 크게 보이지 않고 희미한 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근래 나온 몇 편의 SF영화에서 묘사된 소행성은 지구를 파괴하는 무서운 괴물로 그려진다. 물론 지름 수㎞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