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d라이브러리
"
박막
"(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안을 깨끗하게 태워버린다.반도체도 진공이 필요하다. 반도체를 만들려면 실리콘 위에
박막
을 입혀야 하는데, 이 작업은 반드시 진공 상태에서 해야 한다. 미세한 먼지가 붙을 위험이나 공기 중에서 산화될 가능성을 막기 위해서다. 우리가 잘 먹는 라면도 습기를 없애기 위해 진공 안에서 만든다.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분야에서도 광촉매가 주목받고 있다. 태양력을 이용하는 태양전지의 경우 현재 실리콘
박막
을 이용하는데, 가격이 너무 비싸 보급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리콘 대신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면 대규모로 저렴한 태양전지를 만드는 일이 가능하다.한편 대체에너지 중 주목받는 차세대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전체 칼라가 가능하다. 또한 모니터나 브라운관을 아주 얇은 판에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초
박막
형 TV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전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분자발광체는 유기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분자로 제작할 수 있다. 흔히 페트병에 쓰이는 재료와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는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 모니터나 브라운관을 아주 얇은 판에다 만들 수 있어 초
박막
형 TV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사실 유기물질(고분자)에 전기를 흘렸을 때 빛을 내는 발광 현상은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됐다. 하지만 실용성이 없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PPV라는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만들 수 있다.연구실에선 자극을 통해 전하가 생기는 특성을 갖고있는강유전체PZT
박막
과광손실율이낮은SiNx
박막
(Si(실리콘)과 N(질소)로 이뤄진 얇은 막)을 합친소자를 만들어냈다. 현재 이 소자에서 표면파의 성질에 따라 광이 달라지는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연구실은 노광수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있다.그렇다면 실리콘 가속도센서의 기본 원리는 무엇일까. 이 가속도센서는 실리콘
박막
으로 압저항체(압력을 가하면 저항이 변하는 물체)를 형성해 외부의 가속도에 따른 압저항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다. 쉽게 생각해보자(그림2). 센서 안에는 질량이 m인 진동 물체가 스프링에 매달려 있다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 중진공 | 1백-${10}^{-1}$Pa |저진공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진공상태를 만든다. 중진공은
박막
장비, 진공야금, 광학부품, 레이저, 전자산업 등에서 사용된다. 이때의 압력은 온도계가 연결된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서 뜨겁게 데운 후 진공용기 속에 넣으면 기체분자들이 필라멘트와 충돌하면서 열을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끼어 넣는 경우 윗면의 강자성 금속
박막
의 N극과 S극의 방향과 아래 면의 강자성 금속
박막
의 N극과 S극의 방향이 같은 경우 윗면에서 아래 면의 금속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크고, 방향이 반대인 경우 크기가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해 소자를 만들 수 있다. 이 소자는 현재의 소자인 DRAM과는 달리,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하드디스크 같은 저장매체에 비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 현재의 저장기록 매체인 자성
박막
의 한계를 넘어서 1백Gbit/인치² 이상, 나아가서는 테라(10³Gbit)급 정보기록매체에 획기적인 돌파구를 제공해줄 수 있다.작아질수록 강력해지는 촉매이처럼 반도체나 자성 나노입자는 크기에 따라 새로운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AlGaAs)나 인듐갈륨비소(InGaAs)와 같은 기판 물질과는 다른 혼합화합물을 여러 개의 단결정
박막
층으로 성장시키는데 이를 ‘이종접합구조’라고 한다. 이때 각 층의 두께는 수나노미터(1nm=${10}^{-9}$m)에서 수마이크로미터(1μm=${10}^{-6}$m)까지 정밀한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때문에 화합물 반도체는 실리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