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고시티와 함께하는 소방 안전 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소방차나 소방 헬기, 소방 드론 등 소방 장비들의 역할을 복습할 수 있었지요. 섭섭박사님은 “최근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어 크고 작은 화재가 많이 발생했다”며 “오늘 수업을 통해 불이 얼마나 위험한지, 소방 대원들이 어떻게 사람들을 구조하고 불을 끄는지 배워 가면 좋겠다”고 말한 뒤 ... ...
- IMO 2023 그 뒷 이야기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김동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박사과정생과 코디네이션 부팀장 박성진 미국 예일대학교 박사과정생, 코디네이터 10명이 참가했는데요. IMO 주최 측에서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에서 대회가 열리자 수학 실력이 뛰어나면서 영어를 잘하는 우리나라 학생을 많이 섭외했어요. 김동률 ... ...
-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 E스포츠, 국가대표 훈련 어떻게 받을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승리를 거뒀다. 두 종목 모두 충분히 금메달을 노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장 박사는 “LoL, 피파 온라인 4와 같은 E스포츠 종목들도 사격, 양궁처럼 금메달 효자 종목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의 말처럼 오는 9월, E스포츠 국가대표들은 역사상 첫 국제 올림픽에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정 교수는 한때 가톨릭에서 ‘신부(神父)’라 부르는 성직자를 꿈 꾼 적이 있었다. “박사 과정을 밟기 전, 진지하게 진로를 고민해 보는 시기가 있었죠. 당시 내렸던 결론은 이거예요. 신부님들이 심적, 종교적으로 치료를 해주는 분들이라면 저는 과학자로 남아 치료제를 개발하기로요. 그래서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있을 뿐이에요. 현재 3차원 쌍곡기하 공간을 연구하고 있는데요. 가까운 목표는 무사히 박사학위를 받는 것입니다. 그 후에는 뚜렷한 가치관을 가지고 넓은 시야를 가진 연구자가 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학창시절 혼자 문제 풀던 습관이 남아 있어서 다른 사람에게 질문을 하고 토론하며 ... ...
- [인터뷰] 헤일메리 과학굿즈 작가 “우주와 인간 문명이 만나 우연히 만들어지는 로맨틱한 이야기를 좋아해요”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트위터에 과학 랩 배틀 홍보 포스터가 공유돼 있질 않나(왜한국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박사의 팬미팅에서 찍은 인증샷이 있질 않나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토성 사진을 보며 황홀해하는 게시물(?) 등 과학 덕질이야기가 가득했습니다. 뭐 하는 사람인지 점점 더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 ...
- [과학사 극장]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만들었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아닐까? 최형섭 과학기술사 연구자로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과학기술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과기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펜하이머 평전인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번역했으며 저서로는 ‘그것의 존재를 알아차리는 순간’이 있다 ...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물리적 성질을 슈퍼컴퓨터로 모사, 예측하는 것이었다. 핵융합 연구의 문을 열다 박사학위를 받고 핵융합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0년대 초반만 해도 한국은 핵융합 실험 장치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컴퓨터 자원이 모두 부족했다. 당시 내 임무는 우리 연구원에서 운영하는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일어날 것 같은 일들을 현재 연구실에서 실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박사후과정을 밟던 시기인 2017년, 현 교수는 청색광과 칼슘을 이용해 특정 행동 시 활성화되는 신경세포를 정확하게 표지(label) 할 수 있는 기술인 ‘캘라이트(Cal-Light)’ 개발에 참여했다. 뇌가 학습, 기억, 인지와 같은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펠로우 교수). 2004년 일본 교토대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박사후연구원, 금오공대 조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를 거쳐 2023년부터 연세대에서 재직 중이다. 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를 개척한 세계적인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마찰전기 소재 및 소자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