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스터리
비밀
신기
d라이브러리
"
신비
"(으)로 총 1,03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 여수 세계박람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게 더 있걸랑.보여 주고 알려 주고 싶은 것이 아주 많아. 하지만 너무 많은 걸 말해 주면
신비
감이 떨어지잖아. 무엇이 더 있는지 알아보는 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맡길게. 여수세계 박람회는 8월 11일까지야. 그때까지 맘껏 즐기도록 해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간격과 도형의 크기를 달리해 작품의 입체감과 깊이감을 살린 것이다. 보너스 전시관
신비
한 착시의 세계로휴~, 다행히 반듯한 곡선을 성공적으로 그렸어! 그럼 이제 집으로 돌아갈 수 있는 건가?무슨 소리! 아직 끝나지 않았어. 마지막 관문이 남았지. 저 그림에는 대체 몇 명의 사람이 숨어 있는 ... ...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황금비 캘리퍼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만족한다. 피타고라스학파 사람들은 각각의 선분이 모두 황금비를 따르는 펜타그램을
신비
의 도형이자, 형제애와 건강을 상징하는 도형이라고 여겼다.한편, 펜타그램과 비슷한 별 모양이지만 그 모양이 다른 육각별인 ‘헥사그램’(그림❹)도 있다. 헥사그램은 정삼각형 2개를 엇갈리게 겹쳐놓은 ... ...
피라미드와 앙코르와트, 누가 먼저 무너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신라인들은 기술력으로 단점을 극복했다.]앙코르 와트 : 약하디 약한 사암의 눈물‘
신비
의 사원’이라고 불리는 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 역시 모르타르(접착제) 없이 벽돌과 사암으로 만들었다. 앙코르 와트는 1861년 정글을 탐험하러 들어갔던 프랑스 박물학자에 의해 알려졌다. 주변에 있는 12~1 ... ...
[photo] 태고의 어둠 속에서 찾은 절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얼마나 오래였을까. 영겁의 세월 동안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잠겨 있던 동굴 속에 두 발 달린 동물이 나타났다. 인간이라 불리는 두 발 동물은 호기심과 경탄 어린 눈을 ...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지하 1100m 아래에 있는 이 호수는 어디서도 보기 힘든 투명하고
신비
로운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수학아트전 예술로 변한 수학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수 있는 3차원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차원을 넘나드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차원의
신비
감을 표현하기 위해 ‘선’을 이용하는 예술인 그래픽아트 기법을 많이 쓴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학의 매력에 빠진 예술가들이 수학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이용해 작품을 ... ...
얼어붙은 행성은 생명의 꿈을 꾸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있다. 모두가 한 곳을 바라보는 모습과, 마침 그 방향에서 비치는 황금빛 햇살이 어울려
신비
로운 느낌을 자아낸다. 이 동작은 공기를 폐에 채우기 위해, 또는 다음 숨 쉴 곳을 살펴보기 위해 취하는 동작이다.포악한 들소사냥꾼 캐나다 우드버팔로국립공원의 늑대 무리는 설원의 무법자다. 이들은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위를 최대 40초 동안 시속 70km로 400m를 한번에 날 수 있는 날치. 존재만으로도
신비
로웠던 날치의 비행 메커니즘은 지난 2010년 밝혀졌다. 최해천 서울대 교수팀이 영국 과학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에 날치의 비밀을 밝힌 것. 날치는 폭이 15cm인 양 지느러미(가슴지느러미과 배지느러미)를 활짝 편 ... ...
유리의 무한변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유리를 각각 다르게 써 표현한 공작새의 깃털, 나뭇가지에 달린 푸른 나뭇잎까지 자연의
신비
로움과 위대함이 묻어난다.[빛이 쏟아지다 | 이윤범 - 빛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표현하고자 안쪽 면을 울퉁불퉁하게 만들었다.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원기둥 안쪽에 유리조각을 덧붙여 가열해 울퉁불퉁한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놀았던 기억을 떠올려 보자. 철가루를 뿌려서 눈에 보이지 않는 자기장을 확인할 때의
신비
로움이 기억난다. 나침반을 보면서 지구가 거대한 자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의 놀라움도 빼놓을 수 없다. 그런데 그런 거대한 자석의 ‘힘’이 사실은 실험실 속 인공 자기장보다 턱없이 작다는 사실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