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d라이브러리
"
실마리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주어진 숙제였다.고약한 맛은 어떻게 선택됐나피셔(1930)는 이타성의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
를 ‘고약한 맛의 진화’라는 단락에서 제공했다. 딸기독화살 개구리처럼, 어떤 애벌레나 나비는 자신을 먹어봤자 아주 맛이 없음을 포식자에게 화려한 경계색으로 알린다. 포식자는 화려한 먹이를 덥석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전에 범인을 잡는 것이다. 안타까운 사연에 장기미제전담팀의 사무실은 사건 해결의
실마리
를 잡기 위해 고민으로 가득 차있다. 하지만 단서가 너무 부족하다. 그때 누군가가 사무실 문을 열고 들어오는데….문을 열고 들어온 사람은 프로파일러! 프로파일러는 일반 수사 기법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비정부기구(NGO)들이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것이 교육의 정상화예요. 그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
는 캄보디아 최고의 대학인 프놈펜왕립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킬링필드와 내전이 끝난 뒤 평화로운 시대에 태어난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기 시작하며, 캄보디아에서는 학생들의 숫자가 눈에 띄게 늘고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추적했다. 그리고 식물이 햇볕을 충분히 받을 때 어떤 과정을 거쳐 꽃이 피는지 한 가닥
실마리
를 찾아냈다. 햇볕이 따스하게 내리쬐는 낮에는 잎에서 ‘자이겐티아’ 유전자가 발현됐다. 이 유전자에서 만들어진 자이겐티아 단백질은 ‘콘스탄스’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도왔다. 콘스탄스 단백질이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미국 UC어바인 공동 연구팀이 기후변화로 육지의 물 저장 용량이 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속도가 일시적으로 늦춰졌다 ... “이번 연구결과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해수면 상승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실마리
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지식] 엄상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그래프 이론과 매트로이드 이론★의 공통점에서 행렬의 계수를 이용하면 된다는
실마리
를 찾았답니다.너무 어렵다고요? 쉽게 말해 복잡하게 생긴 그래프를 나뭇가지 모양처럼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나눴을 때, 각 절단면을 지나는 선들로 만든 행렬계수를 얼마나 작게 만들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분명히 어떤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그들은 아마카스의 블로그에서 사건의
실마리
를 또 하나 발견한다. 아마카스는 마도카가 들고 다니던 사진 속 남자아이와 많이 닮았다는 것, 그리고 그의 아들인 겐토가 뇌신경의학자 우하라 젠타로에게 뇌 신경세포 재생 수술을 받고 회복했다는 사실을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있다. 가라앉은 사체는 바다에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한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사건의
실마리
를 찾을 수 있다.캐나다 빅토리아대는 벤쿠버 연안의 비너스(VENUS) 수중관측소에서 돼지의 사체로 실험을 했다.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을 이용해 시체에 만들어지는 수중 생태계를 연구하기 위해서다. 200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더러운 자기 합리화와 변명의 연극을 한 바탕 벌이고 나서, 나는 한 가지 의문에 대한
실마리
를 발견할 수 있었다. 아무 증거도 없었고, 뿌리가 조금도 겹치지 않은 완전히 다른 종족의 행동 이유를 짐작한다는 건 터무니 없는 짓이긴 했지만. 나는 온도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고 불필요한 움직임이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새로 시작될 벨II(BelleII) 실험에서는 본격적으로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의
실마리
를 파고들 계획이다. 벨II 실험 계획 수립에 참여하고 있는 권영준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표준모형에는 6가지 쿼크와 렙톤들이 있는데, 어떤 이유로 이런 구조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