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리
탈퇴
분할
독립
구분
구별
이별
d라이브러리
"
이탈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유지하며 궤도비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계기의 고장은 곧 우주정거장이 궤도에서
이탈
하는 것을 의미 한다. 다시 말해 우주정거장이 정거장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럴 경우 우주정거장은 지구 대기권으로 추락하거나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서 떠돌아 다니는 운명을 맞을 ... ...
이론과 실제 공기 저항으로 큰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총알도 역시 같은 중력을 받아 궤도가 포물선를 그리게 되는데 원래의 궤도에서 아래로
이탈
된 정도는 그 사이에 자유낙하한 거리와 같다. 따라서 총알과 원숭이는 어느 하나가 먼저 땅에 떨어지지 않는한 총알의 속도에 관계없이 반드시 만나야 한다.사냥꾼이 30°의 각도로 원숭이를 겨냥하고 총을 ... ...
유일한 푸른행성 지구의 생명체 지켜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목성에서의
이탈
속도는 약 초속 60㎞나 된다. 즉 목성의 대기권에서 어떤 특정 성분이
이탈
하기 위해서는 초속 60㎞ 이상의 속도를 가져야 가능하다는 것이다.대기 구성 성분들은 태양계와 그 행성들의 형성 초기과정에 관한 중요한 증거를 줄 수 있다. 지질학적 기록들은 그 행성의 지표와 지표수권 ... ...
모형비행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가진 비행기를 조종자가 끄는 줄로 당겨 일정 고도까지 오르게 한 후, 끄는 줄을
이탈
시켜 자유비행하도록 한다. 비행시간은 대개 1~2분 정도이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상승기류를 타게 되면 무한비행도 가능하다.고무동력기는 여러 가닥의 고무줄을 감아 프로펠러를 돌려 그 추진력으로 비행하게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지구에서 멀면 멀어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한계거리에 이르면 어느 은하의
이탈
속도는 거의 광속에 다다른다는 간단한 결론이 내려진다.놀랍게도 이렇게 유추해낸 특수상대론적 우주의 '끝' 개념이 프리드만 우주 방정식에 실제로 존재한다. 이를 학계에서 전문용어로 '지평선'(Horizon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그러나 중금속의 양이 일정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몸
이탈
을 일으킨다. 이때 중금속은 세포내에서 효소의 작용을 방해해 질병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르게 한다.현재 중금속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론 서너가지가 거론되고 있다. 첫째 폐수의 PH를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전환점이 매우 낮게 위치하고 있어 대부분의 별들은 (그림5)에서 처럼 이미 주계열을
이탈
한 상태에 있다. 즉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분광형이 K, M형인 별들 몇 개만이 아직 주계열에 남아 있는 상태가 대부분의 구상성단 H-R도다.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산개성단은 비교적 나이가 젊은 별들의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점 역시 유리한 점이다. 소프트렌즈의 경우 눈꺼풀 아래까지 덮게 되므로 좀처럼 눈에서
이탈
되는 법이 없다.그러나 소프트렌즈에도 약점은 있다. 이들은 결국 작은 '물주머니'인 셈이므로 빛을 반사해 시야를 흐릿하게 한다. 또 쉽게 찢어지며 다른 손상을 자주 받는다. 더러움도 더 잘 탄다. 따라서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수명을 갖고있는 이유는 은하수를 따라 움직이며 먼지구름을 통과하면서 무리로부터
이탈
하는 별들이 생기기 때문이다.가장 널리 알려진 개방형 별무리는 플레이아데스인데 좋은 눈을 갖고도 그 무리의 다른 3천여개 별을 보지못한 그리스인들은 7개의 별이 보인다고해서 '7자매' 무리라 불렀다.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16)의 속력보다 조금 더 빠른 초속도를 가지면 어떻게 될까. 인공위성은 그대로 원 궤도를
이탈
해 지구로부터 탈출하게 될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 지구의 경우 탈출 속도인 v≒11.2(km/초) (17)에 이르기 전에는 결국 (그림 4)에서 처럼 타원 궤도를 그리며 도로 지구로 끌려 돌아오게 된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