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
졸업생
d라이브러리
"
학사
"(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23세 이공계 박사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는 아버지의 권유로 KAIST에서 1년 간 공부했다. 2000년 다시 미국으로 가 RPI대학의
학사
과정(전공 생물물리학 및 생화학)에 다니다 2002년 8월 곧바로 박사과정(전공 화학)에 들어가 2년5개월 만에 학위를 받았다.그의 논문은 루게릭병의 발병인자로 알려진 SOD 단백질 응집현상에 관한 연구다. 논문 ... ...
진화하는 진화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859년 영국의 존 머리 출판사는 생물
학사
에 길이 남을 역작을 펴냈다. 바로 찰스 다윈이 쓴 '종의 기원'. 이 책에는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물이 오랜 세월을 거쳐 조상과 다른 종으로 분화한다는 진화론의 개념이 담겨 있다. 다윈 이후 과학자들은 진화 현장에 대한 생생한 목격담을 쏟아내고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오늘날 현미경은 과학 연구의 필수 도구가 됐다. 물리학자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화학자와 광물학자는 결정의 형태와 성장을 관찰하기 위해서, 공학자는 사용할 재료의 강도와 내구성 따위를 조사하기 위해 현미경을 쓴다. 생물학과 의학에서는 현미경이 전쟁터에 나가는 병사의 총에 견줄만하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뉴턴은 1642년 크리스마스 아침에 태어났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과학자로 불리는 그는 26세에 지금은 스티븐 호킹이 차지하고 있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루카스 석좌교수가 됐다. 46세에는 국회의원이 됐고, 조폐국을 아주 효율적인 조직으로 탈바꿈시키는 수완을 보이기도 했다.만약 그를 만유인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후 J 헤베리우스가 「미라(불가사의한 별)」라고 명명했다 전자의 파동성을 실증한 물리
학사
상 중요한 실험 컴퓨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조정할 수 있는 장치 데이터 단말기는 각종 입출력부와 컴퓨터 본체의 통신을 통제하는 단말통제부로 구성된다대표적인 것으로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바젤 대학의 해부학 · 식물학 ·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 후에는 프랑스의 파리
학사
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J F 다니엘이 1820년에 고안한 노점습도계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길이가 다른 두 다리를 가진 굴곡유리관이 기둥 위에 받쳐진 형태이다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때 큰 화상을 입어 왼손이 불구가 되었다의학에 뜻을 두어 고학으로 토쿄의 사이세이
학사
(濟生學舍)를 졸업하고 전염병 연구소에 입소하여 세균학을 전공했다1900년 미국으로 건너가 록펠러 연구소원이 되어 미국에 영주했다 독사 및 사독(蛇毒)의 연구로 두각을 나타냈고, 후에 매독균 스피로헤타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원자의 4분의 1 정도만이 합격한다. 비행 엔지니어의 경우에는 이공계 전공자로서 최소
학사
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어야 한다.2단계에서는 우선 하루 동안 신체와 정신검사를 한다. 그 다음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과 기타 과목에 대한 필기시험을 통해 우주인이 반드시 갖춰야 할 전반적인 ... ...
이공계 살리기 움직임 활발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있다. 인정기술사란 학력이나 경력을 인정해 기술사와 동등한 권한을 갖게 한 것이다. 즉
학사
졸업자의 경우 해당분야에서 12년의 경력이 인정되면 시험을 보지 않고도 인정기술사가 될 수 있다.현재 많은 기업들은 기술사의 검증이 필요한 단계에서 비용이 들고 상대하기 부담스러운 기술사 대신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D)팀에는 데넷이 토론자로 나섰다. 특별 손님으로는 저명한 생물철학자이면서 생물
학사
가이기도 한 마이클 루즈 교수가 자리를 같이 한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스티렐니가 마이크를 잡는다. 그런데 어딘가에서 친숙한 음악소리가 들려온다. 방송 시작 사인이 켜졌는데도 노래는 계속되고 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