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분포"(으)로 총 1,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나리 데이] 최종 결과를 발표합니다~!공지사항 l20210322
- 등 모든 기록을 합하면 총 1014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답니다~! 역시 우리 지사탐 대원들, 최고예요!! 그럼, 식물개화 탐사기록 분포도를 함께 살펴볼까요? 대원 수가 가장 많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록이 가장 많이 모였고, 그 외의 지역에서도 활발한 참여를 보여주었어요.^^ 특히 제주도 대원들의 활약이 눈에 띄네요~! 모든 ...
- 올챙이 - 210318 - 1탐사기록 l20210318
- 구상나무: 분류: 소나무과의 상록 교목 분포: 한국(한라산, 무등산 등) 개화기: 6월 결실기: 10월 용도: 건축재 및 정원수 구상나무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입니다. 그리고 잎사귀가 뾰족하지 않습니다. 또 잎사귀의 뒷면의 색깔이 하얗습니다. 해외에서 전나무와 교배하여 크리스마스 트리로 쓰였습니다. 전나무는 ...
- 고양이에 유래의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210308
- 안녕하세요. 류가연 기자입니다.오늘은 고양이의 유래의 대해서 알아볼려고 합니다. 고양이의 유래 고양이는 요즘 애완동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사람과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인터넷 상 ... 강 포유류 목 식육목 과 고양이과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무게 5~10k ...
- 레드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210214
- 멸종 위험을 객관적인 기준으로 판단하고 체계적인 등급을 나눠 저장했습니다. 지금도 지속적으로 국제적인 규모로 생물의 분포를 확인해서 등록하고 그 동물들이 적힌 목록을 만들고 있습니다. 바로 이 생물들의 멸종 위험을 분석해 나열한 목록을 레드 리스트(The Red List), 한국어로 적색 목록 입니다. 글씨가 붉은색이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
- 서대문자연사 박물관에서 뱀의 이동방법을 탐구하다기사 l20210204
- 폐 호흡을 하고, 단단하고 건조한 비늘이 덮인 피부를 가집니다. 사는 곳은 열대 지방에서부터 사막 지역까지 다양한 지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습니다. 양서류와는 달리 변태하지 않아 새끼와 어미의 생김새가 같습니다. ...
- 충우 곤충 박물관을 다녀와서기사 l20210117
- 가장 큰 사슴벌레, 기라파 톱사슴벌레입니다! 인도 남부지역부터 인도차이나반도를 거쳐 필리핀, 인도네시아까지 넓은 범위에 분포하고, 지역적 격리에 따라 9가지로 분류된 톱사슴벌레입니다! 여기까지 곤충 기네스였습니다! 제가 이 '충우 곤충 박물관'을 다니며 느낀 점은 재미있고 여러 새로운 곤충을 만나게 되어 기뻤습니다. 또 내려오는 길에 기념으로 ...
- 등검은말벌,한국땅에서 재거해야 하나?기사 l20210115
- 출처:내이버 블로그 등검은말벌은 이름처럼 등이 검은색이어서 등검은말벌입니다. 외래종이고 공원부터 야산까지 인 분포하는 곳이 없습니다. 그러면 이 녀석이 어떤 피해를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번:양봉 망치기 출처:내이버 블로그 양봉을 그냥 망치는 게 아닙니다!거의 양봉통 벌들이 사라지는 것처럼 초토화 시킵니다! 꿀벌들은 모두 전사하고 유충들과 ...
- 제2회 환경학술포럼에 가다!기사 l20210113
- 도마뱀붙이 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온도에 따른 개미의 행동 변화, 인간 활동에 의한 무당개구리의 기형 정도 조사, 제비의 전국 분포 및 번식지 특성 연구, 시민과 함께 하는 박쥐 초음파 조사 발표가 있었습니다. 각 발표가 끝나면 주제와 연구에 관련된 질문들이 쏟아져서 뜨거운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답니다. 2부에서는 도시의 인공 불 ...
- 새우가 번식하기 위해서 갖춰야 하는 조건기사 l20210113
- 제가 오늘 설명 드릴 새우입니다. 이 새우는 다른 새우들과 달리 몸집이 좀 큰 편입니다. 또 전체적으로 몸이 투명한데, 몸 옆으로분포한 줄무늬 패턴이 다릅니다. 수컷은 둥글고 작은 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암컷은 가로로 약간 늘어난 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새우가 번식하기 위해 갖춰야 하는 환경과 조건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조 ...
- 매운음식 먹을 때 찬물 마시면 안된다고?!?!기사 l20210109
- 고르지 않아 전하를 띄는 분자" 입니다. 뜻을 풀면, 2개 이상의 원자가 결합하여 생긴 입자(분자)에 전기의 2가지 종류인 +, -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나 -를 띄는 분자입니다. 극성은 극성끼리, 무극성은 무극성끼리 잘 섞이기 때문에 극성 용매인 물과, 무극성 용질인 캡사이신은 잘 섞이지 못해 매운맛이 중화되지 않는 것이랍니다.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