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역사 이야기"(으)로 총 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쿸런 이야기 3기 14화 제 친우의 어머님께서 하신 말씀을 알려 드릴까요?포스팅 l20211205
- ㅘ... 권ㅅ아님에 오ㅈ원님에 정ㄷ인님까지... 말잇못인데요? 넘 금손이시라?) 하까: 잠깐! 지난 이야기 시작하기 전에 중요한 공지가 있습니다. 좀 있다 크리스마스 다가올 때 쯤 티라미수맛 쿠키가 공식 출시 라네요 ... .. 고맙다... 아몬드는 고맙다는 말에 반응하지 않고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침목했습니다. 아몬드: ...
- 이게 정말 공룡이라고? 요상하게 생긴 공룡들 TOP 7!기사 l20211203
- %EC%8A%A4 7위는 친타오사우루스가 차지했네요. 앞다리에 비해 긴 뒷다리와 머리에 있는 뿔이 특징입니다. 공룡의 역사가 바뀌기 시작한 2012~2020년 중 2013년에 친타오사우루스에 관한 논쟁이 일어났습니다. 바로 머리에 있는 볏 ... org/wiki/%EB%93%9C%EB%9D%BC%EC%BD%94%EB%A0%89%EC%8A%A4 ...
- 무서운~ 이야기포스팅 l20211127
- 1800년대에 설립 된 학교라 어마어마하게 낡은 건물들과 인적 드문 동부 자연 한복판인데다가 긴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귀신이야기가 건물하나씩은 그런 학교였어. 근데 내가 오늘 할 이야기는 내가 9학년때 신입생으로 들어가서 썼던 기숙사에 관한 이야기야. 우리 학교는 9~11학년이 같이 쓰 ...
- 쿸런 이야기 3기 11화 유혹과 설득, 성군과 폭군포스팅 l20211121
- 크 이거 너무 잘 쓰고 있어요 오ㅈ원님 권ㅅ아님) ~지난 이야기~ 무당벌레는 사실 어릴 적 지옥에서 수호신 중 가장 신분이낮았던, 무당거미맛 쿠키가 무당벌레의 몸에 빙의를 ... ..그 쿠키는 바쁘다고 해서. 마법사: (생각) 요즘 사군자맛 쿠키님, 많이 바쁘시네. 뭐... 애들수능기간이니까 역사 가르치는 쿠키 입장에서는 또 바쁠 ...
- 우리는 왜 꿈을 꾸는 걸까?기사 l20211117
- 것이다'등등 설만 존재할 뿐이죠. 실망이라구요? 하지만 꿈은 우리에게는 미지의 존재이니,꿈에 얽힌 신기한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프랑스의 고고학자이자 역사학자였던 루이 페르디난 알프레드 모리는 30년 이상 자신의 꿈을 설명하는 일기를 써 온,그리고 최초로 꿈을 꾸는 원인과 그 결과를 실험한 학자입니다. ...
- 쿸런 이야기 3기 10화 수호신 (+특별편)포스팅 l20211114
- 긴 말 필요 없구여 사랑합니다 권ㅅ아님 오ㅈ원님) ~지난 이야기~ 경찰팀은 티라미수의 룸메이트, 밀크티맛 쿠키에 의해티라미수가 ... (생각) 요즘 사군자맛 쿠키님, 많이 바쁘시네. 뭐... 애들수능기간이니까 역사 가르치는 쿠키 입장에서는 또 바쁠 수도. ???: 미안~. 우리가 좀 늦었지? (위에 ??? 특출 선착 2분 받습 ...
- [쥬라기 월드-4] 내 이름은 억울해사우루스! 오비랍토르기사 l20211112
- 박시후 기자입니다. 오늘은 역사상 가장 큰 누명을 쓴 공룡, 오비랍토르에 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처 ... 제외시 완벽한 골격 1~2개 정도 몸길이: 2.5m 1. 해설 오비랍토르는 역사상 가장 큰 누명을 쓴 공룡입니다. 이 공룡이 프로토케라톱스의 둥지에서 ... 매우 뛰어나 지금까지도 고생물학계에서 인정받고 있다고 합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양치를 어떻게 했을까?기사 l20211103
- 어떻게 했을까요?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 출처 : 픽사베이 우리가 매일 하는 양치질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지만, 지금처럼 칫솔에 치약을 묻히는 방식의 양치질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지금과 같은 ... 이후에 이 단어가 전해져 내려오다가 지가 치로 바뀌었다고 하고 이 행위를 양치질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 ...
- '독도의 날', 사랑하는 독도 영원하기를!기사 l20211024
- 10월 14일 독도로 주민등록을 옮겨 1987년 돌아가실 때까지 독도에서 살았다고 전해져 있답니다^^. 정말 아름다운 이야기처럼 느껴져요! 또, 저도 독도에서 한 번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끔 하기도 한답니다~. 이 외에도, 독도에는 ... 독도관리사무소 공무원, 주민 2명을 포함하여 약 40여 명이 살고 있고요! 독도에 대해 연구하는 ...
- 글의 완성도를 높이고 싶다고?기사 l20211016
- 안경을 자유롭게 쓰지도 못했다니 놀랍네요! 그렇다면 어느 나라에서 안경을 들여온 것일까요? 우선, 안경의 역사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3세기 경 이탈리아의 한 유리공이 시력에 손상을 입어 가까이 있는 물체도 잘 보이지 않자 두꺼운 볼록 렌즈 한 쌍을 만들었는데요, 이것이 안경의 유래입니다. 그러다가 14세기부터 제대로 된 안경이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