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대"(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두산? 알고 가면 더 재미있지!기사 l20170124
- 하나죠. 백두산의 자랑거리는 또 있습니다. 화산 분출물과 부석이 물길을 막아 생긴호수 , 백두산 정상 근처에 있는 , 백두산 꼭대기에 있는, 화산이 폭발한 후 용암석 표면의 화산재와 흙이 물에 씻겨 형성된 이 있습니다. 하나 더! 백두산에 오를 수 있는 길은 총 5가지가 있습니다 ...
- 지사탐 심화교육, 강촌천 민물고기탐사!탐사기록 l20161120
- 환경부지정위해종 '블루길'을 한마리 잡아왔어요 그 동안의 모니터링에선 나오지 않았던 녀석이라 강촌천도 토종어류에게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지요 사진출처 - kathy park 님 풀숲을 열심히 헤치며 채집하느라 온몸에는 도깨비바늘과 같은 달라붙는 식물들이 덕지덕지 붙어있었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중이었는데 지사 ...
- '생명의 빛, 오로라'의 권오철 작가님을 만나다기사 l20161031
- 노르웨이 같은 나라는 270일 넘는 기간 동안 구름이 끼기 때문에 보기 힘듭니다. 그래서 캐나다 옐로나이프와 같은 건조한 사막지대가 가장 좋죠. 구름이 조금 있더라도 도착한지 3일 정도 경과하면 반드시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보신 가장 아름다운 핑크빛 오로라를 보려면 흑점 폭발 알람이 울리면 바로 캐나다로 가십시오. - 가장 흔하게 볼 ...
-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소?기사 l20161019
- 네. 바로 방귀입니다. 주로 방귀나 배변에서 나오고, 실제로는 석유나 석탄을 태우고 남으면 남는 연기와 같은 성분입니다. 주로 공장 지대에 가면 맡을 수 있는 그런 냄새들입니다. 그런데 사람들보다 소와 같은 가축에게서 많이 나오는 이 메탄가스는 놀랍게도 지구온난화에 이산화탄소보다 더 나쁜 영향을 주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소가 ...
- [서울.꿈꾸는지구]매미.160907-1탐사기록 l20160907
- 짧게 울고 길게 쉬고. 집앞 나무에서는 오늘 안울고,아파트 지대가 높은 곳에서만 우네요. 소리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
- 2016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0714
- 6월 25~26일,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지구사랑탐사대원 35명이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비무장지대(DMZ) 펀치볼 지역에 모였어요. 24시간 동안 생물종을 찾는 세계적인 행사인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 참가하기 위해서였죠. 그런데 탐사를 다 마치고 특종이 터졌다고 해요. 무슨 일일까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4호(2016년07월 15 ...
- [생생취재상] 출동! 생물다양성(바이오블리츠) 탐사 대작전!기사 l20160703
- 가서 북한을 보았다. 날씨가 너무 좋아서 금강산도 보았다. 그만큼 북한과 가깝다는 뜻이어서 무서웠다. 을지전망대는 비무장지대에 있다. 여기에서 DMZ생물이야기도 들었다. 왜 생물다양성(바이오블리츠)가 중요한지 설명을 들었다. 쌓아올린 벽에서 벽돌이 군데군데 빠지면, 그 벽은 무너진다. 생물도 일부 종이 없어지면 전체 생태계가 위험해진다. 그 종 ...
- 바이오블리츠 2016탐사기록 l20160630
- 비무장지대의 청정지역에서 진행한 뜻깊은 행사였다. 우리가족처럼 많은 일반인들이 참여해서 24시간 동안의 생물 대탐사를 즐기고 있었다. 현장에서 전문가들애개 직접 식물의 이름과 생태에 대해 설명 들을 수 있었고, 적극적인 친구들은 질문공세를 벌이기도 했다. 일반인 참여자들이 walk, talk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동안 전문가들은 쉴새 없이 생물 ...
- 2016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다녀왔어요!포스팅 l20160630
- 함께 해당 지역의 탐사가능한 모든 생물종을 찾아서 기록하는 과학탐사 활동이에요. 올해는 남북분단의 상징인 DMZ 비무장지대인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펀치볼 둘레길 일대에서 진행되었어요. 특히 6.25전쟁이 있었던 6월25일에 이뤄져 의미를 더해주었답니다. 식물, 곤충, 지의류, 버섯 탐사를 하며 전문가 선생님들께 생물을 조사하고 채집하는 방법 ...
- 메추라기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160521
- : 메추라기는 봄, 가을에 이동하는 철새입니다.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가도 주변에서 흔치 않게 볼 수 있는 새입니다. 복한 고지대에서 번식하다가 우리나라에는 가을에 이동해 오는 흔한 겨울새입니다. 철새 같은 경우는 이동을 해야 하는데 이 넓은 지구를 길 한번 잃지 않고 간다고 합니다. 이것에 대하여 지금도 과학자들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