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현재"(으)로 총 4,135건 검색되었습니다.
- 3PM님의 허락을 받고 만든...포스팅 l20240917
- 팬입니다.좋아하는 유튜버: 태경,쁘허님 진짜 좋아해요. 거의 6~7년차 태싹입니다. 6~7살때부터 봤어요. 도티님도 좋아하는 편이에요.현재 기분: 너~~~~~~무 좋아요!!!!!!!!!!!!!왜: 추석 연휴라 학교 안가서요!!!!!!!!!!!!!!!!!!!!!!!!!!!수고하셨어요! 네!이거 해보실분? 꽤 어렵습니다.. ... ...
- 그 아이가 여기 있을까요포스팅 l20240914
- 그 아이는 현재 콜롬비아의 있습니다.그 아이는 저와 참 잘 맞았습니다.(아동용 scp도감에서 최애scp가 이상하게 나왔다든가)그리고 전 그 아이가 떠나기 전 팝콘플래닛을 해보라고 했습니다.제 필명도 알려주고요.그 아이한테 카즈미보단 비밀결사가 맞을것이라고 했는데.비밀결사가 순위권의 오른것도.그 아이가 보고 있어서인 것 아닐까요? ...
- 지질계의 올림픽! IGC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에 다녀오다기사 l20240908
- 불리해서 목 긴 공룡들이 많이 멸종하던 시기라 부경고사우르스는 매우 특별한 케이스라고 합니다. 다음으로 저는 허민 박사님께 ‘현재 생존하는 생물 중 동물과 가장 가까운 친척뻘의 동물은 무엇이 있나요?’라고 질문했는데, 허민 박사님의 대답은 의외로 ‘새’였습니다. 원래는 공룡이 살던 시대때 조각류가 탄생은 했었는데 잘 날지를 못해서 무게를 줄이고 ...
- 바보털은 실존한다.포스팅 l20240907
- 현재 머리를 묶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림으로 대체합니다. (뭔데 진지하ㄴ) 근데 오늘 미용실 갈거라 머리(카락) 자르고 오면 없어질 수도 있을것같아요 ...
- 2024년 하코다테 국제과학제에 다녀오다.기사 l20240906
- 쌓인 하코다테는 옛날부터 연어와 오징어가 많이 잡혀 어업이 발달한 곳인데, 한때 남획으로 인해 어업이 중단된 적도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하코다테의 어종에도 변화가 생겨 연어보다는 방어가 더 많이 잡힌다고 합니다. 또, 하코다테는 일본 다시마 최대 생산지로 다시마 양식과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인데, 최근에는 ...
- 셰밀레 캐분양 결과(영상)포스팅 l20240904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결과는ㄴ.... COPYCAT님!그 인원이 너무 많아서ㅡ..(이게뭐라고...)앞 7분, 뒤 7분으로 나눠서 1차로 뽑고, 2차로 나누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주작이 아닐지를 설명하기 위해 영상을 찍었습니다. 우리 셰밀레 잘 부탁드리 ...
- "특별한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을 위한 특별한 것입니다." HIS Youth (국립 중앙과학관)기사 l20240904
- 만들어 주신분은 과학기자에서,우주인 후보로, 우주 정책 연구가로 활동 중이신 안형준 박사님이셨습니다. 안형준 박사님은 현재 국가 우주 정책 연구 센터에서 일하고 계신다고 합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예전에는 어린이 과학 동아 기자셨던 적도 있었다고 말씀해 주셨어요. 한때는 어린이 과학동아를 만드셨던 분이라하니 왠지 더 친근해지는 느낌이 들었습 ...
- 제주도 사진 추가포스팅 l20240902
- 이쁘죠이쁘죠 아그리고 저 영어듣기 안침ㅋ개꿀(여기서만 이말을 97268043번 정도 했음 +여기 테라스가 얼마나 편하냐면요현재 11시 9분 기준 한 2시간 정도 여기 앉아서 글쓰고 노래 듣고 폰 보고 그러고 있습니다바람 적당히 시원하고 바다냄새도 은은하게 나서 ... ...
- 2024 IGC(세계지질학총회) 부스 탐방!기사 l20240901
- 빛을 받지 못하여 자라지 못했고 용각류는 큰 덩치 때문에 빨리 움직이지 못하여 육식 공룡에게 많이 잡아먹혀 멸종을 합니다. 현재 공룡의 후손 이라고 할 수 있는 동물이 무엇인가요? 바로 새 입니다. 허민 교수님은 크기가 작고 민첩한 공룡이던 조각류가 날고 싶다는 욕망 때문에 서서히 진화를 하면서 지금의 새 형태와 비슷하게 진화하게 되었다고 ...
- 우리의 눈으로 우주를 탐험하다: 은하 분류 대작전기사 l20240831
- 우주기자단 김도윤 기자입니다. 오늘이 우주기자단 미션의 마지막 날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두 개의 미션이 남아있는데, 하나는 은하분류이고, 하나는 제가 우주택시 파일럿이 되어 직접 안내방송을 하는 영상을 찍고, 다시 편집을 하는 중이였습니다. 글은 8월 26일에 썼는데, 영상을 조금 더 만들고 싶었는데 글이 써지지가 않아요. 이 미션이 가장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