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향촌
향리
출생지
고향마을
본고장
출소
제고장
뉴스
"
고향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체파 화풍과 극사실주의를 결합하면?
팝뉴스
l
2017.07.06
큐비즘-하이퍼리얼리즘의 화풍을 시도한 건 오래된 일이 아니다. 2016년 그는 피카소의
고향
인 스페인의 말라가를 방문하고 바로 이런 화풍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미학적으로 볼 때 큐비즘과 하이퍼리얼리즘은 상극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벨리는 예술에서는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것을 ... ...
[화보] 넘어질 예정인 ‘월-E’의 표정
2017.07.04
생물이 자라는 아름다운 지구이지만 그에게 가장 아름다운 별은 가족과 친구가 있는
고향
별일 것이다. ※ 작가소개 장난감으로 꿈을 만드는 사진작가, 미첼 우 미첼 우는 원래 결혼사진 작가였다. 2015년, 그는 가족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장난감 사진작가가 되었다. 그런데 왜 하필 ... ...
[사진 아트] 케냐 거리의 아이들, 강렬한 사진 작품
팝뉴스
l
2017.07.01
아이들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담겨 있다. 케냐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작가는 제2의
고향
이라 할 수 있는 키탈레 생활을 통해 어린 시절부터 사회 불평등 문제와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고. 특히나 날로 심각해져 가는 청소년 노숙자 문제를 깊이 우려한 작가는 사진기를 소통의 도구로 ... ...
[과학Dream_3화] 바라나시에서 신의 나라를 만나다
2017.07.01
차 사이의 경계마저 모호하다.- 바라나시=신수빈 기자 sbshin@donga.com 시바신이 머물던
고향
인 '바라나시'엔 비슈누신의 발뒤꿈치에서 흘러나온 갠지스 강물이 흐른다. 인도 사람들은 이곳에 몸을 담그면 지금껏 쌓였던 업이 씻겨져 나간다고 믿는다. 하지만 몸을 함부로 담그진 마시길. 이들을 따라 ... ...
친구 잃은 돌고래 ‘태지’의 이상행동, 왜 그런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22
그때처럼 무리를 지어 바다를 누비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자신의
고향
도 아닌 바다에 홀로 풀어넣는 것이 태지에게 정말 좋은 것일지도 생각해야겠지요. 동물 역시 나름의 사회성과 감성을 지닌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동물을 대하는 우리의 시선도 차츰 바뀌어 가는 듯 ... ...
사려 깊은, 스웨덴의 황금 계란 사우나
팝뉴스
l
2017.06.15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야 할 상황이다. 이주 자체는 불안감을 조성할 수밖에 없다. 정든
고향
과의 이별은 박탈에 다름없다. 한 부동산 개발업자가 비게르트 & 베르그스트롬에 의뢰해, 이주 주민들의 불안한 마음을 달랠 방법을 연구하도록 했으며 그 결과 제작된 것이 황금 계란 사우나이다. 계란은 ... ...
[과학Dream_1화] 그렇게 만난 두 얼굴의 인도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19~21세에 결혼을 하지 않은 여성은 ‘골칫거리’ 취급을 받는다. 플로리나의
고향
과 같은 곳이 인도 전체 지역중 60%에 이른다. 이런 지역에서 여성이 장래희망을 갖긴 힘들다. 딸이 태어난 직후 부모들은 ‘결혼 찬조금’을 마련하기 시작하고 그 찬조금의 크기에 따라 사윗감의 ‘스펙’이 ... ...
4000년 전 이집트인이 먹은 인류 첫 발효빵은 어떤 맛?
과학동아
l
2017.05.26
재현하며 빵과 함께 살아온 ‘효모 사피엔스’의 기원을 찾아가 보았다. ● 발효빵의
고향
은 고대 이집트 기원전 2000년, 고대 이집트에서 발효빵이 처음 탄생했다. 기후가 따뜻하고 나일 강이 흘러 밀과 보리가 잘 자라는 곳이었다. 그전엔 발효되지 않은 밀가루를 그대로 구운 납작한 빵을 ... ...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국가를 잃은 사람에게, ‘과학’은 살 길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1
어떤 연구도 진행할 수 없어 캐나다에서 계약직 연구원으로 살고 있습니다.” 4. “
고향
아프가니스탄에서 살 땐 제 나이가 2살이었습니다. 소련 군대가 철수하며 소련과 무자헤딘이 서로 싸우기 시작했죠. 전선을 피해 철새같이 이동을 거듭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세계 인구의 3%에 ... ...
[때와 곳 6] 철도역: 배웅과 마중의 살가운 현장
2017.05.20
석상(石像)이 서 있다는 성윤석 시인의 시 「석상」이 떠올랐다. 그 광장의 석상도
고향
을 떠나기 싫어서 그곳에 그대로 멈추었던 것일까. GIB 제공 내가 좋아하는, 〈리디아의 정원〉이라는 그림책의 소녀 주인공 리디아는 미국 대공황 시기에 아빠가 실직하는 바람에 가족을 떠나 먼 도시에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