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물
수확물
뉴스
"
농작물
"(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10인’에 IBS 김진수·김빛내리 단장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06.28
정상 유전자로 고치는 데 성공했다. 기후변화와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은
농작물
등 식물 유전체 교정 분야에서도 김진수 단장은 선두 주자로 평가 받는다. 그는 “향후 남북 과학기술 협력이 활성화되면 유전자 가위는 북한 식량난을 신속하게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 ...
[짬짜면 과학 교실] 주방과 욕실의 두 재주꾼
2018.06.23
산성과 염기성의 중간 성질로 바뀐다는 말이에요. 그래서 농사를 짓고 나면
농작물
이 땅속의 영양분을 많이 흡수해서 산성으로 변한 밭에 이듬해 농부는 석회 가루를 뿌려 다시 중간 성질로 만드는 거예요. 석회석은 아주 오래전에 죽은 수중 동물의 뼈나 껍질이 쌓여 생긴 퇴적암이어서 탄산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
에 뿌리는 살생물제에 대한 말말말!
동아사이언스
l
2018.05.19
미칠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아타쉬가히 박사는 “살생물제를
농작물
에 뿌리는 대신 조금 다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도 있다”고 말한다. 자연에는 자정작용이라는 게 있다. 각 살생물제는 표적으로 하는 생명체를 위협하는 독성이 들어있다. 생물체에 기생하는 박테리아나 ... ...
이상열 경상대 교수, 제3회 카길한림생명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2.26
잘 견뎌 극한 환경에서도 자라는 식물 유전자를 발굴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작물
개발에 앞장서 왔다. 시상식은 26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됐다. ... ...
서울대 공대, 아프리카에 태양빛을 공급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5
농작물
재배 등에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iTEC는 지역 주민들이 전기를 이용해
농작물
가공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규모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센터 개소식에는 송금영 탄자니아 대사와 안나 음기위라 킬리만자로 주지사가 참석했다. 음기위라 주지사는 “태양광 등의 ... ...
소금기
농작물
피해 안녕! 염분 등 환경 스트레스 극복할 식물 연구 결과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7.12.31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왔다. - 생물화학저널 제공 논이나 밭에 소금기가 많은 물이 들어와
농작물
이 피해를 입는 것을 ‘염해’라고 한다. 식물이 염분 변화 등 주변 환경 변화에 충분히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피해다. 최근 염분 변화에도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는 ‘스트레스 저항성 작물’ ... ...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
과학동아
l
2017.12.14
스트라노 MIT 화학과 교수는 “이 센서를 이용하면 실내 화분뿐 아니라 너른 평야에서도
농작물
에게 물이 적당히 공급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랩온어칩(Lab on a chip)’ 11월 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9/C7LC0093 ... ...
[짬짜면 과학 교실] 사라진 도토리
2017.12.02
구황 식물이었습니다. 구황 식물(救荒植物)이란 흉년이 들어 먹을 양식이 모자랄 때
농작물
대신 먹을 수 있는 쑥이나 칡 등의 야생 식물을 일컫는 말입니다. 쌀의 열량이 100그램에 372칼로리인 데 비해 도토리는 100그램에 221칼로리라니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구황 식물로서는 꽤 괜찮은 ... ...
[뉴스 되짚어보기] ‘
농작물
’ 진화 시작은 3만 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7.10.26
것입니다. 농사의 시점을 1만2000년 전보다 이르게 당겨 봐야 할지는 논란이 있겠지만, ‘
농작물
’의 탄생 시점은 (그게 꼭 3만 년 전까지는 아니더라도) 앞당겨질 가능성은 충분히 있겠습니다. http://rstb.royalsocietypublishing.org/content/372/1735/2016042 ... ...
[사이언스 지식IN] 외래 붉은불개미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성격이 포악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천적이 없는 외래 붉은 불개미가 토착종을 밀어내고
농작물
을 훼손하는 등 기존 생태계를 해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입니다. 특히 사람을 포함한 동물을 더 많이 물어뜯는다고 알려지면서 위험성이 더 부각된 면도 있었는데요. 검역본부가 붉은불개미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