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뉴스
"
먹이
"(으)로 총 1,33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최후의 날 대비, 달에 '생물 저장고' 설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살아 있는 상태로 보존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거나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을 먼저 달에 보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달 생물 저장고는 멸종된 주요 생물을 복원하거나 인류가 '테라포밍'을 할 때 활용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테라포밍은 지구 외 ... ...
큰갈색박쥐, 나이 들어도 '쌩쌩한 청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Rousettus aegyptiacus)는 노화에 따라 청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이 박쥐는
먹이
를 사냥할 때 청각보다 시각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큰갈색박쥐의 청각 시스템은 다른 모든 포유류의 청각 시스템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며 "연구결과가 인간의 청력 ... ...
[동물do감] 코모도왕도마뱀,
먹이
찢는 비결은 '철 코팅된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24.07.26
코모도왕도마뱀. 위키미디어 제공 지구상에서 가장 큰 도마뱀인 '코모도왕도마뱀'은 450kg이 넘는 물소 등 대부분의 먹잇감을 이빨로 쉽게 찢을 수 있다. 이 강력한 이빨의 비결은 철로 코팅된 톱니 모양 구조라는 점이 밝혀졌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연구팀은 코모도왕도마뱀이 철로 코팅된 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루카는 당시 유일한 생명체가 아니라 여러 생명체(이 가운데는 아세테이트를
먹이
로 삼는 종류도 있었을 것이다)로 이뤄진 생태계의 일원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루카 계열에서 모든 박테리아의 공통조상(LBCA)과 모든 아르케아의 공통조상(LACA)이 나왔고 그 뒤 아르케아에 포획된 박테리아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룡시대 전 '변기 모양 머리' 포식자 번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20
연구팀은 "가이아시아의 머리는 크고 평평하며 납작한 변기 모양"이라며 "입을 벌려
먹이
를 빨아들일 수 있는 형태를 지니고 있었고 거대하고 강력한 송곳니도 있었다"고 말했다. 사냥꾼인 가이아시아는 악어처럼 호수와 늪에서 표류했으며 뱀장어처럼 헤엄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육지에서도 ... ...
[동물do감] 갑오징어도 사람처럼 '잘못된 기억' 불러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경로). iScience 제공 먼저 갑오징어에게 좋아하는
먹이
인 새우, 새우보다 덜 좋아하는
먹이
인 게가 각각 담긴 통과 빈 통을 특정 무늬와 짝지어 보여줬다. 2분 뒤에 내용물이 보이지 않게 새우 통과 빈 통을 보여줬다. 1시간 뒤에는 새우 통을 빼고 마찬가지로 무늬만 보이게 한 빈 통과 게 통 중에서 ... ...
독수리 사라지니 50만명 사망, 무슨 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동시에 죽은 동물이나 썩어가는 동물들을 찾아다니며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사체들을
먹이
로 삼기 때문에 사체를 통해 질병이 퍼지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인도 농장에서는 죽은 가축들을 수로에 그냥 버리는 사례들이 발생하는데 이는 질병이 크게 퍼지는 원인이 된다. 독수리는 ... ...
[동물do감] 빵 먹고 자란 '도시 갈매기'도 생선 제일 좋아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있다"며 "동물은 도시에 살면서 인간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 행동이 그런
먹이
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어린 동물이 섭취한 음식이 이후 생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 doi.org/10.7717/peerj.17565 ... ...
다이어트약 부작용 '메스꺼움' 없앨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그 결과 ‘후뇌’로 불리는 뇌 영역의 GLP-1 수용체가 부족해졌을 때는 쥐가
먹이
를 정상적으로 먹는 결과를 보였다. 후뇌의 신경세포 활동이 억제되면 위고비 효과가 차단된다는 의미다. GLP-1 약물 작용 및 식욕 조절에 있어 중요한 부위로 알려진 뇌 영역인 시상하부에서 GLP-1 수용체가 ... ...
"몸집 커진다고 뇌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에너지의 양을 줄여 비행을 위한 에너지 확보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박쥐는 초음파로
먹이
를 탐지한다는 점에서도 뇌를 이용한 감각 사용이 덜 중요한 동물이다. 하지만 비행과 생존 등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뇌 기능이 있다는 점에서 더 이상 줄어들지는 않고 있다. 연구팀은 동물이 뇌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