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스페셜
"
독자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양방향교신 성공 "투입능력 검증"...
독자
우주개발 능력 적용 첫 시범사례는 '큐브위성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발사된 21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종합관제실에서 연구원들이 포옹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오후 발사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에서 분리된 성능검증위성과 지상국 사이에 양방향 교신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위성과 양방향 교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왼쪽부터) 강선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대팀장,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한영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엔진개발부장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마침내 우주로 가는 길을 열었다. 1조9572억 원을 투입해 개발에 착수한 지 12년 3개월 만이다. 1992년 국내 첫 위성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는 '이들' 꿈도 함께 싣고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테스트를 진행하고 공정을 개발하는 데 최대 1년 가량 소요됐다”고 밝혔다. 순수 국내
독자
기술로 구축한 제2발사대도 빼놓을 수 없다. 발사체를 개발해도 발사대 기술이 없으면 발사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강선일 발사대팀장은 “13명의 연구자와 현대중공업 등 협력기업까지 더하면 60여명이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1일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국내 전문가들이
독자
기술로 설계부터 핵심부품 개발, 제작, 조립까지 지난 12년 3개월 동안 쌓아온 결실이다. 누리호는 중형 자동차 무게인 1.5t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km 지구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발사체다.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 인공위성을
독자
적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시대는 무엇을 의미하나...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물론 지상시험설비, 발사대, 발사운용체계 등 우주발사체 발사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독자
개발한 성과다. 나로호의 경우 추력 170t의 1단 엔진을 러시아에서 들여왔으며 발사체 제작과 시험, 발사 운용 등 관련 기술도 러시아와 공동 개발했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LSV-Ⅱ)가 발사되고 있다. 한국우주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리 손으로 만든 위성을 우리가 만든 발사체로 우주에 쏘아 올렸습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LSV-Ⅱ)가 21일 하늘문을 열었다. 귀가 찢어질 듯한 굉음을 내며 눈 깜짝할 새 하늘로 올라간 누리호는 700km 상공에서 초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윤 대통령 누리호 성공에 "항우청 설치해 체계적 지원" 논란 '불씨' 여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3월 경남 사천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한국형 모델인 항공우주청을 만들고 항공우주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연합뉴스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이 국내 우주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가운데 우주개발 정책 중추 역할을 할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길은 열렸다.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00㎞인 지구 저궤도(LEO)로 실어나르는 우주발사체다. 2010년부터 1조 9572억원을 들여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지난해 10월 첫 발사에 도전했으나 3단 엔진이 계획보다 일찍 꺼지면서 발사에 실패했다. 2차 발사 역시 기상 상황과 예기치 않은 레벨센서 문제가 발생하며 발사 연기가 두 차례 이어졌다.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이스라엘·이란·북한보다 늦었지만…7번째로 1t급 실용위성 발사 능력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액체엔진을 포함한 1단을 러시아에서 들여와 사용했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선 완벽한
독자
발사체로 보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번 누리호의 경우 75t액체엔진과 7t액체엔진 등을 비롯해 70~80% 이상의 기술이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개발해 한국이 비로소 자력발사 능력을 갖췄다는 ... ...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으로 발사한 ‘나로호’에 이어 ‘누리호’를
독자
개발해 발사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누리호 발사를 기점으로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우주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누리호 개발에 함께 참여한 300여개의 민간기업이 기술과 노하우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