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멈출 수 있을까
2021.04.13
든다. 과학의 예측 범위 안에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1.5배가 된
오늘날
이미 평균 기온이 1.1도 올라간 걸 생각하면 2배가 됐을 때 불과 1.5도(지금보다 0.4도) 더 높아질 것 같지는 않다. 따라서 기후민감도 범위를 좁힐 수 있는 좀 더 정교한 예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했고 이걸 ... ...
[우주산업 리포트] 아크인베스트먼트 우주탐사 및 혁신 ETF를 아십니까
2021.04.09
것이다. 1990년대 글과 사진, 음악 등을 공유하는 도구 정도로만 여겨지던 인터넷이
오늘날
우리의 삶에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된 것처럼. 테슬라 투자로 유명해진 캐시 우드(Catherine D. Wood) 아크인베스트먼트 CEO. 아크인베스트먼트 제공 ※동아사이언스는 미국 우주전문 매체 스페이스 ... ...
[이덕환의 과학세상]'김치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한 전략
2021.03.31
등으로 부르던 전통음식이다. 18세기 중엽부터 고추를 양념으로 사용하면서
오늘날
의 김치와 같은 독특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여러 문헌을 통해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팩트다. 더욱이 김치는 계절과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했다. 사실은 집집마다 독특한 김치의 전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시적 망각은 어떻게 생길까
2021.03.30
여겨졌다. 그리고 여기에 설단 현상 같은 일시적 망각이 흥미를 끄는 정도였다.
오늘날
‘수동적 망각(passive forgetting)’이라고 부르는 범주다. 21세기 들어 본격적으로 망각 연구가 시작되면서 망각의 대부분은 능동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능동적 망각(active forgetting)인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효율이 더 높아졌다. 그 결과 하이드로게노좀의 발효로만 살아가던 섬모충을 물리치고
오늘날
에 이르렀다. 공생체일까 세포소기관일까 섬모충의 세포내공생체인 칸디다투스 아조아미쿠스 실리아티콜라는 단백질 유전자가 310개에 불과하지만 질산염 호흡으로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장비를 ... ...
조선시대에도 황사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있다. 그 중 가장 두텁고 넓은 지역이 중국의 텐겔, 올도스 사막의 동남쪽 황토고원으로
오늘날
황사가 발원되는 지역과 일치하고 있다. 옛 문헌 기록을 토대로 만든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월별 황사일수. 4월에 황사 일이 가장 많고, 8월,9월에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상청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시사한다. 생체시계는 하나가 아니다 리뷰 말미에서 사소네-코르시 교수는
오늘날
동물의 생체시계로 알려져 있는 ‘PER 진동자(oscillator)’인 BMAL1/CLOCK과 PER/CRY를 핵심부품으로 하는 생체시계가 유일한 게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지난해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혁신은 가능할까
2021.02.23
오늘날
플라스틱 쓰레기는 점점 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지만, 인류는 아직 획기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각 가정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등 재활용 폐기물 분류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지구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7%나 줄었다고 한다. 2 ... ...
[KAIST 50주년 심포지엄]"대학은 변화 수용해야 사회 근간 역할 이어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다양한 분석이 필요했고 많은 연구가 수반돼야 했다”며 “지속성이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
의학에 필요한 기술이 됐다”고 소개했다. 사회와의 대화도 이제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됐다고 평가했다. 메소 총장은 “캠퍼스 내에 다양한 행사를 마련하고 국회의원들과 논의하며 공동의 관심사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수천 년에 걸쳐 이뤄낸 작물화 과정을 불과 10년 만에 해낼 수도 있음을 보였다.
오늘날
쌀은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주식으로 삼고 있다. 이들 다수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가난한 사람들로 기후변화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4배체 야생 벼의 작물화를 비롯해 작물 개량 연구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