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단백질 음료 마셔야할까 고민한다면
2021.06.15
저단백질 식단의 노년은 치료과정을 버티지 못해 암 사망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저자
들은 논문에서 “대체로 체중은 50~60세까지 늘다가 멈춘 뒤 65세가 넘으면 매년 0.5%씩 준다”며 “이때부터 단백질 섭취를 점차 늘리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치아가 안 좋거나 음식을 제대로 ... ...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속도 늦출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속도를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 서울대 제공 논문의 공동 제1
저자
인 정선우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플렉신-A4라는 단백질의 존재는 알려져 있었지만, 이 단백질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플렉신-A4를 조절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근시 억제가 효과가 컸지만 사람에서는 해뜰 무렵의 보랏빛이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저자
들은 예상했다. 잠을 깰 무렵 보랏빛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뉴롭신은 빛 스펙트럼의 보랏빛에만 반응한다(위). 반면 형광등이나 LED처럼 파란빛과 빨간빛이 더해져 만들어진 보랏빛은 소용이 없다 ... ...
감기 바이러스 '면역 기억', 신종 코로나도 통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1.05.28
[미 보스턴 아동병원 연구진 저널 '사이언스' 논문 캡처 / 재판매 및 DB 금지] 논문의 수석
저자
인 레이에스 안드라비(Raiees Andrabi) 면역학·미생물학과 박사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 채취한 혈액 샘플과 코로나19 환자의 혈액 샘플을 비교 분석해 온순한 코로나(감기 바이러스)와 신종 코로나에 교차 ... ...
나선팔 구조 최고(最古) 은하 124억광년 떨어진 곳서 찾아내
연합뉴스
l
2021.05.23
크기지만 별과 성간 물질의 총 질량은 대략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논문 제1
저자
인 SOKENDAI 대학원생 츠쿠이 다카후미는 "이렇게 먼 거리 은하에서 회전 원반과 나선팔 구조, 중앙에 집중된 질량 등의 분명한 증거를 본 적이 없어 흥미로웠다"면서 "ALMA 자료는 인근 은하로 생각될 정도로 아주 ... ...
태양계 안팎 혜성 대기서 철·니켈 등 중금속 원소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1.05.21
VLT의 'X-슈터(shooter)' 분광기로 포착한 자료에서 니켈 원소를 찾아냈다. 논문 공동
저자
미찰 드라후스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보리소프와 태양계 혜성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검사 '게임체인저들'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strip)로 제작해 리더기에 넣고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식도 장점이다. 논문 교신
저자
인 스티븐 피어튼 플로리다대 재료공학과 교수는 “모스펫을 이용해 1초 만에 전기 신호가 얼마나 증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며 항체를 다른 종류로 바꾸면 코로나19 바이러스 외에 다른 바이러스도 검출할 ... ...
[과학게시판] KISTI, 19일 창립 20주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9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1, 2부로 나눠 진행되며, 1부에서는 도서 ‘커피와 바다’의
저자
인 김성용 KAIST 교수와 함께하는 토론이, 2부에서는 도서 ‘2050 거주불능 지구’를 주제로 홍진규 연세대 교수와 함께 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행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재단 유튜브 채널인 ‘사이언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
2021.05.18
된 사료나 우리가 먹다 남긴 음식물이라는 걸 생각하면 그렇게 놀라운 현상은 아니다.
저자
들은 논문에서 비만의 원인을 특정 영양소의 섭취에서 찾으며 싸우는 일은 이제 그만둘 때라고 썼다. 나 역시 이들의 주장에 공감한다. 오늘날 비만의 만연에는 초가공식품 범람, 끊임없는 정보(먹방과 광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공계 학위논문과 공동연구의 특수성
2021.05.12
결과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괜한 우려가 아니다. 실제로 미성년의 자녀를 공
저자
로 올린 논문 때문에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렇다고 연구재단이 공동으로 발표하는 학술논문을 일일이 승인해줄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도 없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