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사"(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2015.12.24
- 그린빌에서 태어난 타운스는 1935년 퍼먼대에서 물리학과 현대언어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다. 명문 칼텍 대학원에 지원했지만 떨어지자 듀크대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재도전해 입학한 뒤 1939년 동위원소 분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벨전화연구소에 취직한 타운스는 2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 ...
- [HISTORY] 의사(醫師)들의 독립운동기KISTI l2015.10.13
- 됐다. 마침내 그는 1893년 대학교를 졸업했고, 미국에서 한국인 최초로 세균학 전공 의학학사가 됐다. 재학 중에는 가필드 병원에서 1년 간 수련의 인턴 과정을 거치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모교에서 강의를 하기 위해 조교가 됐지만, 유색인종에게서 강의를 들을 수 없다는 학생들의 반발이 ...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동아사이언스 l2015.07.28
- 등 특수 과학기술 분야에 특화된 기타 대학들이 있다. 사립대학은 전무하다. 교수임용과 학사관리, 학생입학은 대학당위원회가 총괄하고 있다. 학생들은 등록금을 내지 않고 국가 지원만으로 교육을 받는다. 그러나 최근에는 북한 경제가 피폐해지 면서 이런 지원이 크게 줄었다. - 대학 생활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KOITA l2014.05.27
- 손을 떼고 연구에만 투신한 이후에도 그에게는 부와 명예가 계속 이어졌다. 영국학사회 회원으로 작위를 받았고 이어서 유명한 다비 상, 호프만 상, 라부아지에 상을 받았다. 현재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약 3500가지의 합성염료는 그의 업적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영국화학공업회의 미국 지회에서는 ... ...
- "잘키운 생명공학 인재, 한국판 몬산토 밑거름"동아사이언스 l2013.08.28
- 전통육종(교잡) 방식 연구도 꾸준히 진행돼야 이지원 과장은 - 1987 서울대학교 농학사 - 1989 서울대학교 농학석사 - 1999 서울대학교 농학박사 - 1990~2007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채소재배과 연구사 - 1993~1994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원예학과 방문연구원 - 2007~2008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
- ‘인내’와 ‘상상력’이 바이오기업의 성공 키워드 동아사이언스 l2013.06.27
- 수 있는 벤처 투자 문화 만들어야 크리스 김 박사는 - 1994 UC얼바인 경제학/바이오 졸업(학사) - 1994 바이오텍 ALKERMES 근무 - 텍사스대학 발생학 박사학위 취득 - 카네기멜론대 MBA 졸업 - 스위스 바이오기업 노바티스 어소시에이트 디렉터 - 2009~현재 옥스퍼드바이오사이언스파트너스 매니징 디렉터 ※ ... ...
- "법에 매달리다 보니 배아줄기세포 연구 뒤쳐지는 것"동아사이언스 l2013.05.28
- 대형 연구 지원 방식을 이원화 시켜야 이동률 교수는 1990년 한양대학교 생물학과 학사 1992년 한양대학교 생물학과 석사 1999년 한양대학교 생물학과 박사 1993년~1999년 영동제일병원 수석연구원 1999년~2001년 미국 코넬대 박사후연구원 2001년~현재 한국발생생물학회 이사 2001년~현재 CHA ... ...
- '원자력및양자공학과’가 궁금하다KAIST l2013.05.23
- 등을 통해 인재로 성장한 KAIST 원자과 학생들의 최근 5년간의 진로를 알아보자. 먼저 학사과정 학생들의 90%는 석사과정으로 진학하고 나머지 산업체 5%, 기타 5%로 진출한다. 석사과정 학생들의 53%는 박사과정으로 진학하며 산업체 12%, 해외기관 12%, 연구기관 11%, 대학 6%, 정부 3%, 기타 3%로 진출한다. ... ...
- 여성과학기술인, 연구현장에 다시 서다!동아사이언스 l2013.05.23
- 구성원 돌봄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되었거나 미취업 중인 이공계 학사 이상 학위를 소지한 여성과기인이다. 또한, 사업 참여기관은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대학, 기업연구소 등으로 기관의 연구과제에 1인 이상의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을 활용하고, 정부지원금 대비 20%이상의 자금(현물 포함) ... ...
- 한국의 태양 KSTAR를 만드는 사람들_김재현 박사를 만나다KAIST l2013.05.15
- 박사는 학사, 석사, 박사 모두 KAIST에서 학위를 수여하였다. 김박사는 석사가 되어서야 학사 2호관 건물에서 들리던 쿵쾅거리는 소리가 KAIST 토카막 연구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조금씩 가지게 된 관심이 지금껏 이 분야에 매진하게 한 원동력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인터뷰를 마치며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