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아교로 상처를 말끔하게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정상세포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이 활성도의 차이는 TG가 생체전반의 구조적 변화에
깊이
관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이다. 또 세포가 분화 성장 노화됨에 따라 이 효소의 활성도도 함께 변함을 발견, 노화 성장 분화 메커니즘을 밝히는 새로운 무기를 하나 추가하게 되었다.이 TG의 ... ...
80년대 과학의 업적과 과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과거 어떤 시기보다 눈부신 발전이 있었으며 입자물리학의 분야에서도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었다.한편 인간활동의 결과로 빚어진 환경파괴는 심각성을 더해 인류와 다른 모든 생명체의 생존조건을 위협하는 단계로 이행하고 있으며 AIDS 또한 뜻밖의 재난을 가져왔으며 해결책은 90년대에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곳에 井자 모양의 돌로된 우물이 있다. 궁중의식수로 쓰던 팔보유리정(八宝琉璃井)이다.
깊이
가 4m 정도이고 너비는 70cm정도.3궁에서 2궁까지는 1백m 정도, 거기서 제1궁까지는 1백50m다. 여기에는 높이 2m 남짓한 기초가 남아 있다. 궁의 동서길이는 50m 남북길이는 20m 동서 양쪽에는 화랑 흔적이 있다. ... ...
80년대의 한국 과학·기술 양과 질에서 눈부신 변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정부·민간비율에서 민간우위가 현저해졌다. 기초과학연구가 너무 초라하다는 인식을
깊이
한 것은 주목할만한 일이다. 세계적인 발견·발명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국내 수준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우리 속담에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으나 우리나라 과학기술계는 지난 10년간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쓰이고 있는 삽사리 방(尨)이라는 한자 어휘만 보더라도 삽사리는 우리 조상들의 삶 속에
깊이
연루된 순수한 우리의 토착견임을 말해주고 있다.삽사리는 주로 경주지방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경주지방에는 삽사리와 관련된 구전(口傳)이 많다. 김유신장군이 싸움터에 삽사리를 군견으로 ... ...
정규교과목시대 맞은 학교컴퓨터교육 컴퓨터, 담당교사 모두 절대 부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는데 기인한다. 지속적이고 활용을 통해서만 그 이해를
깊이
할 수 있는 컴퓨터분야에 있어서 활용되지 못하는 '짧은 지식'이 사장되고 마는 것은 당연하다.이에 따라 학교현장에는 학원 등에서 컴퓨터를 익힌 학생이 컴퓨터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보다 컴퓨터에 대해 ... ...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될 것이다.중력파는 이외에도 X-선을 내는 쌍성들이나 신성(nova), 왜신성(dwarf nova)등과는
깊이
관련돼 있어 만일 천체가 지구로부터 충분히 가깝기만 하다면 얼마든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천문학계의 르네상스천문학(astronomy)에서 중력파를 다루는 분야는 상대론적 천체물리학(relativistic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과학교사들의 필진 참여 등 과학출판계에 불고 있는 있는 새바람이, 독자들의 가슴 속
깊이
내재돼 있던 과학에의 욕구와 어우러진다면 '불모지'라는 불명예는 이게 여럽지 않게 벗어날 수 는 있을 것이다.권할만한 책배신의 과학자들(브로드/웨이드 공동지음, 박익수 옮김, 겸지사)과학사에 오점을 ... ...
개방형 컴퓨터통신 컴퓨터간 장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아직 많은 부분이 표준화되어가는 단계이므로 이같은 OSI의 중요성과 필연성을
깊이
인식하고 국가기간사업의 차원에서 좀더 강력한 지원과 민간기업들의 참여가 요청된다 ... ...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하였다. 또 한강변의 암석 위에 자ㆍ치ㆍ푼을 새긴 표(標)를 세워 도승(渡丞)이 물의
깊이
를 재서 본조에 알려 보고하게 하고…"15세기 전반기에 쓰여진 이 글은 수표의 발명과 그 구조 및 설치, 측정에 대한 첫 기사이다.나무기둥에 눈금을 새겨 세워 놓은 청계천 세종 때의 수표는 그 후 돌기둥으로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