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리"(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맡은 서울대 수의대 박재학 교수는 “서울대에서는 생쥐, 토끼, 개 등 1년 동안 4만마리 가량의 동물을 실험에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지난 5월에는 열린우리당 장향숙 의원이 실험동물 관리 법안을 발의했다. 장 의원은 연구기관에 동물실험위원회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3R 원칙을 ...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있다. 이런 병을 모두 10개나 가져왔으니 그와 함께 우주여행을 한 초파리 식구만 1000마리다. 대식구의 초파리는 중력반응, 노화와 관련된 실험에 참여한다.먼저 중력 반응 유전자를 찾는 실험이다. 지구에서 정상적으로 중력을 감지하던 초파리가 무중력 우주에 오면 제멋대로 움직이게 된다. ... ...
- 타로의 돼지 상식 2 - " 돼지, 과학을 빼 놓으면 안 되지~!"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들어 있는 복제돼지의 젓은 값비싼 항암 보조치료제로 쓰인다. 한 해 동안 돼지 한 마리에서 나오는 젖은 약 300ℓ로, 돈으로는 1800억 원 이나 된다. ③ 진정한 장기기증운동본부!그 동안 사람의 뼈를 보충해야 할 때는 주로 죽은 사람의 뼈를 가공해서 썼다. 그러나 처리 과정도 복잡하고 감염의 ... ...
- 차가운 겨울 녹이는 동백꽃과 동박새의 우정과학동아 l2007년 02호
- 터뜨린다. 포근한 숨결 덮고 겨울을 나다동박새는 암수 한쌍이 가족을 이루거나 수십마리가 무리지어 산다. 동박새들은 가끔씩 동백꽃을 사이에 두고 치열한 영역 다툼을 벌이기도 한다. 부리를 서로 맞대고 수직으로 오르내리면서 한판 승부를 벌이는 모습은 사뭇 진지하다. 동박새는 ... ...
- PART2 3R을 아시나요?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않는다. 한번에 200~300개의 알을 낳기 때문에 번식력도 좋다. 실험용 쥐가 한번에 6~10마리 낳는 데 비하면 엄청난 번식력이다.특히 제브라피시는 인간처럼 척추동물이고, 폐를 제외하고는 인간이 가진 장기를 다 갖고 있어 최근 새로운 실험동물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형질전환동물이나 녹아웃(knockout) ...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과학동아 l2007년 01호
- 기억능력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몰랐다. 연구팀은 실버킹비둘기 2마리에게 다양한 사진을 보여줬다. 비둘기는 이전에 봤던 그림을 콕콕 찍도록 훈련받았으며 실험 결과 800~1200개의 그림을 기억하는 놀라운 능력을 보였다.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개코원숭이는 3500~5000개의 ...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났다. 미로처럼 연결된 통로를 통해 망원경 구석구석을 둘러볼 수 있었다. 부엉이 한 마리가 망원경에 집을 짓고 살고 있어 인상적이었다. 아마 전생에 천문학자였는데, 끝내지 못한 연구가 있나 보다 생각하니 웃음이 나왔다.망원경의 무게가 무려 3000톤이 나간다고 하는 말을 들으니 건설할 때 무척 ...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있잖아요. 기초과학과 실용주의 모두의 승리입니다.”그는 ‘볍씨 하나, 돼지 한 마리 품종 개량하는데도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며, 대학도 사실에 입각해 진리를 탐구하는 실사구시(實事求是)와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하는 무실역행(務實力行)의 실학사상으로 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 아낌없이 주는 돼지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특허권이 이전됐다. 현재 새롬이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후손들은 4세대까지 약 50마리로 늘어난 상태다.또 사람들은 돼지의 장기로 손상된 인체 기관을 대체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가축 중에서 돼지가 사람과 가장 비슷한 덩치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실제 돼지의 심장, 췌장 등의 ...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얼굴은 모두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개인의 얼굴을 정확히 인식한다. 양은 5마리만 모여 있어도 어떤 녀석이 ‘순둥이’고 어떤 녀석이 ‘까칠이’인지 헷갈리는데 말이다.이 때문에 1960년대 후반부터 과학자들은 인간의 얼굴 인식은 특별한 능력이고 대뇌에 얼굴 인식을 전담하는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