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충으로 세계가 득시글득시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오트 교수팀은 군집상 사막메뚜기가 독이 든 음식물을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눈앞의 모든 음식을 모두 먹어치운다는 연구를 발표했다.무리 지은 사막메뚜기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에 해당하는 2g의 작물을 먹어요. 1km2 크기의 군체에는 약 4000만 마리의 사막메뚜기가 모여있어요. 이들은 하루에 ... ...
- [탐험대학] 하루종일 로봇 탐험 나도 로봇 기획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친구들의 발표를 들은 엄윤설 멘토님은 벤자민 프랭클린 효과에 대해 설명하셨어요. 모든 일을 척척 해내는 로봇만 필요한 것 같지만, 사용자의 마음을 헤아려 로봇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었지요.정동건 학생(수원 망포중)은 “‘피조물은 만든 이의 성향을 따라간다’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방을 환히 밝히는 전구와 휴대전화 화면 뒤에서 빛을 비추는 장치, 그리고 TV 화면 등 이 모든 곳에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들어있어요. 여러분 주변에서 빛을 내는 물체엔 모두 LED가 들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거예요.하지만 오늘날처럼 LED를 흔히 사용하게 된 건 그렇게 오래되지 ... ...
- [Go!Go!고고학자] 쓰레기장에서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조개 미식가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들도 조개만 먹고 살지는 않아요. 조개만으로 모든 영양소를 충당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조개의 양이 모두가 배불리 먹을 만큼 많지도 않고요. 조개는 안바라족 식사 메뉴의 일부로, 실제로는 물고기와 어린 캥거루도 잡아먹는다고 해요.그렇다면 ... ...
-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만드는 곳은 ‘유니코드 협회’예요. 유니코드는 전 세계의 문자를 모든 컴퓨터에서 동일하게 입력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든 국제 표준 문자 코드예요. 컴퓨터는 정보를 0과 1의 숫자로 처리하기 때문에 사람이 쓰는 문자를 인식할 수 없어요. 그래서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할 때는 문자마다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이루어진 합성어예요. 시민들이 24시간 동안 생태 전문가들과 함께 특정 지역에 사는 모든 생물종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탐사활동이지요.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때문에 빠르게 줄어드는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1996년 미국에서 시작된 활동으로 이후 전세계로 퍼졌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3000m 정도까지만 올라갈 수 있었고 나머지는 걸어 올라가야 했다”며 “시추를 위한 모든 장비를 직접 짊어지고 올라가야 해서 정말 고생했던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이후 2010년에는 자체 제작한 장비로 몽골에서 첫 시추를 했다. 그때는 낙타를 이용할 수 있어서 그나마 괜찮았다고.중국과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작동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다. 이처럼 과학과 기술의 영역에서도 모든 현상을 100% 완벽하게 규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나로호에도 여전히 규명해 내지 못한 불확실성이 있다. 하지만 나로호와 같이 수많은 부품이 연결된 복잡한 기계에 대해 공학적인 시험을 수행하다 보면 ... ...
- 양자역학 논쟁 중 탄생한 슈뢰딩거 캣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어.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는 우주에 있는 모든 입자의 위치와 현재 속도를 알면 우주의 미래를 계산할 수 있다고도 말했지. 문제는 고전 역학으로는 원자, 전자, 소립자 같이 작은 입자, 즉 양자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다는 거야. 그래서 1900년 독일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김 작가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으로 매듭의 개수에 따른 모든 형태를 보여주는 ‘매듭 제네레이터’를 제작했습니다. 이를 이용해 매듭의 모양을 보고 가장 아름다운 구조를 선택한 뒤, 매듭을 구성하는 셀의 각도를 일일히 계산했습니다. 수천 번의 계산 끝에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