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프로존을 사용할 정도다. 프로존은 선수들의 위치와 움직인 거리, 순간 속도, 움직이는 방향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수치화시킨 다음 감독에게 전달한다. 감독은 이를 바탕으로 선수를 교체하고 가장 효율적인 전략을 지시할 수 있다. 유럽의 주요 축구리그에서는 대부분 프로존이나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꼽힌다.최연호 박사는 “2007년쯤부터 이런 문제점이 인식되고 근친교배를 줄이는 방향으로 육종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아직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몇 년 전 전국을 강타했던 구제역이 바로 질병저항성이 떨어진 동물들이 공장식 축산 환경을 만나면서 나타난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n)은 광속(c)을 특정 매질 안에서 빛의 속도(v)로 나눈 값이라고 설명한다. 굴절은 빛이 방향을 꺾는 것인데, 이것은 매질에 따른 빛의 속도 차이 때문에 생긴다. 따라서 광속과 매질에서의 빛의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꺾이는 정도를 알 수 있다.그런데 이것은 완벽한 정의는 아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2시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이들이 던지는 공은 정통파 선수들이 던지는 싱커와 유사한 2시 방향 회전축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싱커성 직구’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LG 트윈스의 우규민이 대표적인 사이드암 투수다. 우규민은 올해 150이닝 이상을 던졌는데, 플라이볼에 대한 땅볼의 비율이 1.1이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탄생 참고)에 따르면, 가속운동하는 전하는 전자기파를 계속 발생시킨다(움직이는 방향이 계속 달라지는 원운동도 가속운동이다). 따라서 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는 전자기파를 계속 발생시키고,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점점 줄어든다. 고전물리학은 이처럼 전자기파로 빼앗긴 에너지로 인해 원운동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중이랍니다. 연구팀이 밝혀낸 초파리의 능력을 비행기에 활용하면 위급상황에서 비행 방향을 빠르고 안전하게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어요. 또한 실제 초파리만큼 작은 로봇을 개발하는 데도 중요한 정보가 된답니다.손가락 꺾으면 나는 ‘뚜두둑’ 소리의 정체손가락을 잡아당기거나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양쪽 눈의 시각차에 따라 원근감을 알아내는 ‘입체시’, 사물이 움직이는 위치와 방향을 느끼는 ‘운동 시차’, 거리에 따라 사물의 윤곽이 또렷하거나 흐려지는 ‘초점 흐림’이다. 예를 들면 고양이 눈을 가진 고양이와 살쾡이, 하이에나는 수평적인 사물을 보는 시력이 좋지 않기 때문에 운동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태킹은 바람이 요트의 앞쪽에서 불 때 요트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방향을 바꾸는 일이다. 어느새 반환점이 가까워졌다.반환점을 향해 갈 때 바람이 요트의 앞에서 불었다면, 반환점을 돈 뒤에는 바람이 요트의 뒤쪽에서 부는 상황이 된다. 좀 더 수월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GPS를 설치해 각 지점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위성으로 관찰하는 거예요.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하에 힘이 쌓이면서 지층이 부서질 테니까요.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어요.한편 일본의 과학자들은 지진을 예측하기 위해 지하 5km까지 터널을 뚫은 뒤 응력계를 설치했어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만든 새 날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할 수 있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어 이용한 겁니다. 연구팀은 날개의 강도에 따라 회전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인 추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날개의 뒷부분은 딱딱한 재질로 두면서 앞부분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만들었을 때 날개가 퍼덕이는 힘을 최대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