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올해 3월말부터 포항공대 가속기센터는 단백질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빔라인(구조
생물학
연구용 빔라인)을 공식적으로 가동중이다. 그는 이 빔라인을 사용하기 위해 찾아간 것이며 바로 이 빔라인의 첫 공식적인 사용자였다. 이전까지 황박사는 외국의 방사광 가속기를 찾아다녀야 했다.그런데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가 보유한 열에 강한 DNA 중합효소(polymerase)는 PCR이라 불리는 유전자 증폭기에 사용돼 분자
생물학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에이즈나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전자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그리고 열에 강한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는 고온에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데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세계 과학자들에게 나눠져 총체적 분석이 시도된다. 어쩌면 분석결과가 우주
생물학
의 많은 부분을 다시 쓰게 만들지도 모른다.이 외에도 혜성과의 다양한 조우 계획이 마련돼 있다. 유럽우주국은 2003년에 ‘로제타’ 호를 발사해 2011년 ‘워타넨 혜성’에 접근시킬 예정이다. 특히 로제타에 실린 ... ...
특명 '지구 밖 생명체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밖에도 생명체가 존재할까. 지구 생명체의 미래는 무엇인가.이런 질문을 던지는 우주
생물학
(Astrobiology)은 우주생명체에 대해 연구하는 새로운 학문분야다. 지구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극한 조건을 알아보고, 실제로 태양계 내에서 극한의 생명체를 탐사하며, 망망한 우주에서 생명있는 행성을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렇다면 사회과학이 수학의 도입에 비례해 발전한다고 볼 수 있겠는가?■수학적 방법이
생물학
및 화학 연구에 응용된 사례를 들어보라.④수질오염환경오염의 여러가지 사례들은 구술면접 문제로 많이 출제됐다. 또한 수능에도 많이 출제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특히 수질오염은 가장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문제를 다시 바라봤으며, 홀데인(J. B. S. Haldane)과 크릭(Francis Crick) 등과 같은 위대한
생물학
자들은 이 책으로부터 큰 영감을 받았다고 고백하고 있다.파동물리학 시대를 연 양자역학의 개척자에르빈 슈뢰딩거는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서 성공한 린넨 제조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영향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공부에 나서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대학원 과정에 있는 임병희씨(30)는 학부과정에서
생물학
을 전공했다. 그리고 기계공학을 부전공으로 택했다. 세포의 움직임에 관심을 가지던 중공학적으로 이를 연구하면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그리고 현재 생명과 공학의 접합점을 찾고 있다.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화성이 선택된 것 같아요. 지형적 특성이 비슷하고 물도 있다고 해서 말입니다. 하지만
생물학
적 실험에서는 비슷하게 나오지 않았어요. 논란이 많은 부분이기 때문에 직접 가서 확인해야 정확한 결과가 나오겠죠.조박사_ 2050년쯤 되면 인구가 1백20억이 넘습니다. 완전히 포화상태죠. 2025년부터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통해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기계∙화학∙재료∙전자∙생화학∙
생물학
등의 각 분야별로 따로 발전돼온 학문과 기술이 초소형 항공기라는 주제 하에 어우러져 시너지 효과는 물론 각 분야별로 답보 상태에 있는 부분에 돌파구를 제시해 줄 것이다 ... ...
③ 망망한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를 ‘벽돌집’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과 같다.지난 1월 30일자 미국학술원회보의 우주
생물학
특별판에는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실험결과가 발표됐다. NASA 에임스연구센터의 과학자들이 차가운 성간의 가혹한 환경을 실험실에서 재현했는데, 이 과정에서 모든 생물이 갖는 막구조를 흉내낸 ‘원시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