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탐사"(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과학동아 l2006년 10호
- 포함돼 있다. 뉴호라이즌스가 온갖 우여곡절 속에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탐사되지 않은 행성’이라는 명분을 내걸어 가까스로 발사될 수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해가 간다. 이들은 거의 1만명에 가까운 IAU 회원 중 겨우 4%인 400여명만 이번 투표에 참가해 천문학계의 의견을 대표한다고 ... ...
- 화산섬 제주도의 보물6과학동아 l2006년 10호
- 충남 부여여중) 지도교수 및 인솔진행자 : 박정웅(서울 숭문고, 지구과학교육연구회 자연탐사학교장), 황석규(서울 국사봉중), 김헌수(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정책과 교육연구관), 장민철(동아문화센터, 인솔진행자)1. 제주 여신의 나막신에서 떨어진 흙덩이, 오름비행기에서 제주도를 내려다보면 ... ...
- 달 용암굴에 집을 짓자과학동아 l2006년 09호
- 부분적으로 붕괴돼 생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유인 달 탐사 계획이 다시 진행되면서 달의 용암굴을, 우주인을 우주 방사선과 운석으로부터 지켜줄 주거공간으로 활용하자는 논의가 시작된 것이다.마돈 박사는 “달 표면에 운석을 피하기 위한 고정된 구조물을 만드는 ...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과학동아 l2006년 09호
- 미국은 물론, 전 지구적인 명성을 누리고 있다. 기본 설정은 2266년부터 5년간 먼 우주로 탐사를 떠나는 우주선 엔터프라이즈 호와 승무원들의 모험담이다. 특히 외계인 스폭 박사와 우주선 엔터프라이즈 호의 인기는 대단했다.1966년 9월에 시작한 오리지널 시리즈는 1969년 6월까지 모두 78편의 ...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과학동아 l2006년 09호
- 따온 이름 1950~52년 코펜하겐 대학의 안톤 브룬 박사를 단장으로 하는 광범위한 심해생물탐사(深海生物探査)에 이용되었다에쿠아도르의 서해안에서 서쪽으로 약 1000km 떨어진 동남 태평양 상에 적도를 끼고 점재(點在)하는 화산도군(火山島群)〈진화론의 섬〉이라고도 한다 침엽수에서 ...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과학동아 l2006년 09호
- 개인 PC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는 ‘SETI@home’ 프로젝트가 종결되기 직전의 어느 날.한국의 과동고등학교 2학년인 김마주 군의 컴퓨터에 이상한 신호 ... 화성탐사가 시작됐듯이 꿈꾸는 자만이 꿈을 이룰 수 있다. 지금부터라도 우리나라 화성탐사의 청사진을 미리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 ...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과학동아 l2006년 09호
- 현재는 자동차 제조공정의 50% 이상을 로봇이 담당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물론 우주탐사에까지 로봇의 손길이 닿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로봇들은 모두 전문가의 시스템 디자인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어떤 로봇을 만들까?지금부터 30년 전으로 돌아가 태권V 시스템 디자인에 직접 참여해보자. ...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과학동아 l2006년 09호
- 현재 인류의 비행기술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인간이 만든 물체 가운데 최고 속도는 태양 탐사위성 ‘헬리오스2’가 기록한 초속 70km였다. 이 정도 속도로는 태양계를 벗어나는데만 4년 반이 걸린다. 우리은하를 통과하는데는 4억5000만년, 안드로메다은하까지 도달하는데는 90억년이 걸린다. 따라서 ...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과학동아 l2006년 08호
- telepathy) 투시(clairvoyance) 정신감응(psychometry) 예지(precognition) 과거인지(retrocognition) 수맥탐사(dawsing) 등이 이에 속한다물리적인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염력(念力: psychokinesis, PK) 공간이동(teleportation) 공중부양 염사(念寫) 물질화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과학동아 l2006년 08호
- NASA)의 토성탐사선 카시니호는 혼자서 토성까지 항해한 뒤 각종 자료를 지구로 전송하고 있다. 카시니호가 지구를 떠나 토성에 도착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6년 8개월. 카시니호는 어떻게 그 먼 길을 혼자서 항해할 수 있었을까.별자리는 우주의 길라잡이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의 방효충 교수는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