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파장에 의해 제한을 받는 정보 저장 용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나, CD 한 장에 영화 수십
편
을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반도체 칩이나 집적회로에서 층간·칩간 신호 전송속도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 신호 연결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분자를 구별하는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2010 국제로봇컨퍼런스’가 함께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30개국의 참가자들이 800
편
의 논문을 발표해 학술 교류도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의 만프레드 모라리 교수 등 로봇공학계 석학의 초청강연도 열린다.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없죠. 특히 자음 발음이 정확해야 해요. 평소 발음이 좋은 아나운서들이 노래를 잘하는
편
이죠.” 장재인도 노래할 때는 입을 크게 벌리고 조음점을 앞에 둬 정확하게 발음한다.두 번째는 복식호흡이다. ‘뱃심으로 노래한다’라는 말은 복식호흡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김 원장은 “노래는 ... ...
응급구조, 인공호흡보다 흉부압박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밝혔다.예일대 의대 데이비드 콘 교수는 “흉부압박만 실시하는 응급구조법이 더욱 간
편
하고 구조율이 높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며 “새로운 흉부압박법을 보급하기 위해 국제적인 합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특히 국제 SCI급 학술지에 120
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했다. 김경웅 교수는 6개 국제학술지의
편
집위원으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김 교수는 자신의 연구가 “사람들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면 좋겠다”며 “비소 연구를 시작한 것도 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을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기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 내용은 개막일인 11일 오전, 이번 컨퍼런스에서 공개되는 596
편
의 논문 가운데 첫 번째로 발표됐다.핵융합 연구에서 중성자 검출은 중요한 전기로 평가된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났다는 가장 확실한 ‘물증’이기 때문이다. 그 동안 KSTAR에서 이루어진 실험은 가속된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일본 식품과학학회지 ‘음식의 과학’ 1994년 4월호에 게재한 바 있다.김치냉장고가 보
편
화돼 있는 현대에도 이런 실험 자료는 큰 의미가 있다. 가장 맛있는 김치의 발효 상태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치는 발효되다가 어느 순간 ‘부패’가 시작되는데, 그 직전까지는 김치의 맛이 더 좋아지기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동시에 발현했다.연구자들은 이 발견을 생명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셀’에 두
편
의 논문으로 나눠 실었다. 10쪽 분량의 첫 번째 논문은 새로운 미각 수용체 무리의 발견에 대한 내용이고, 이어지는 9쪽 분량의 논문은 이 수용체 무리가 쓴맛 수용체임을 입증하는 내용이다.단맛과 감칠맛의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반적인 먼지는 표면이 비교적 매끈매끈해요. 그래서 탈탈 털면 쉽게 떨어져 나가는
편
이죠. 하지만 화산먼지는 표면이 날카롭고 뾰족뾰족하기 때문에 한번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아요. 우엉가시가 옷에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는 것과 비슷한 원리랍니다."황재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하지만 아직 현실에 존재하는 문화재는 3D스캐너를 통해 정밀한 데이터를 확보해 놓는
편
이 유리하다. 이런 데이터가 있다면 무엇보다 실물 문화재가 손상을 입었을 경우 복원과정에서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만일 숭례문 화재 이전에 건물 전체를 3D데이터로 스캔해 두었다면 복원은 물론 사고에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