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소리로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여러 시도를 하고 있는 만큼, 능동소음제어 기술도 해결 방법 중 하나로 충분히 논의될 수 있습니다. 다만 소음을 없애기 위해 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자칫 두 소리가 합쳐져 소음이 더 커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해요. Q층간소음, 완전히 없앨 수 없을까요?층간소음은 사람의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서식지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 힘쓰고 싶어요. 새를 몇 마리 구조해도 아파트가 하나 들어서면 수천 마리가 죽거든요. 멸종을 막기 위해 계속해서 좋은 동물원을 만들어 동물의 소중함을 알리고 싶어요. 어과동 독자 여러분도 우동수비대로 활동하며 동물원이 동물사를 개선하는 데 힘을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에서 함께 만들어 봐요. 인공지능이 똑똑해지는 비결 중 하나는 학습이에요. 여러분이 찍은 가족의 얼굴 사진을 인공지능에게 가르쳐서 가족의 얼굴을 알아보는 도어락을 만들어 봐요! ● 개념 이해하기 인공지능에게 ‘학습’이란?야생동물을 본 적 없는 인공지능이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아리 네호라이 미국 워싱턴대학교 전기 및 시스템공학과 교수팀이 전염병 확산 모형의 하나인 ‘SEIR 모형’을 확장한 코로나19의 예측 모형을 개발해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SEIR 모형은 인구 집단을 감염 취약(S), 노출(E), 감염(I), 회복(R) 등 4개의 그룹으로 나눠 그룹 간의 인구 ... ...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에르되시가 확률적 방법론을 통해 램지 수의 하한을 찾은 이후로 약 70년 동안 수학자들은 하한을 발전시키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2020년 ...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 내적 : 벡터를 연산하는 방식 중 하나. 두 벡터의 성분에 대응하는 좌푯값을 곱해서 모두 더한다 ... ...
- [수학체험실] 퍼즐인 듯 퍼즐 아닌 퍼즐 같은 너~ 아르키메데스 퍼즐, 스토마키온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만드는 전통놀이인 칠교놀이처럼 14개의 조각으로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게임이고, 다른 하나는 퍼즐의 기본형태인 정사각형에서 조각들을 재배열해 새로운 조합으로 정사각형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두 번째는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키는 가짓수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인 조합론에 해당한다. ... ...
- [수학기자의 책장] 필요한 수학 개념만 쏙쏙 골라 담았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왜 수학 공부를 하나요? 시험을 잘 보고 싶어서? 좋은 학교에 진학하고 싶어서? 여러 가지 이유로 수학을 공부하지만 수학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답하는 친구는 매우 적습니다. 하지만 저의 하루만 돌아봐도 주식을 사고, 인터넷 쇼핑으로 최저가 상품을 고르고, 엑셀 함수와 그래프를 업무에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교수는 “해외에서는 시민과학이 천문학, 분류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하나의 과학문화로 자리매김했다”며 “해외의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매뉴얼이 잘 갖춰져 있고 시민의 관심이 높아 좋은 연구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코로나19로 시민과학 프로젝트 참여자가 크게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나올 수 있습니다. 단, 굴리기 전에는 어떤 값이 나올 거라고 단언할 수 없습니다.전자 하나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전자는 일정한 영역 내에 어디에든 있을 수 있습니다. 영역 내 어느 지점에 있을지 그 확률은 각각 다르지만, 어느 지점에도 있을 가능성은 있죠. 단 위치를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양귀비를 수면과 죽음의 상징이라고 여겼다.아편에 들어있는 알칼로이드 성분 중 하나인 모르핀은 중추신경계의 뮤(µ)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결합해 작용하는 신경억제제다. 모르핀은 마약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강력한 진통제로도 사용된다. 암 수술과 같이 큰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들의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