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뉴스
"
기계
"(으)로 총 3,876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비대면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20.10.10
세상에 내놨다. 그라운드 스테이션은 다량의 인공위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 뒤,
기계
학습을 통해 분석하는 서비스다. AWS는 현재 6곳에 지상국을 설치했고, 추가로 6개를 더 설치할 계획이다. 한편 MS도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Azure)’를 이용해 인공위성 데이터를 곧바로 다운받을 수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등장한 유전자가위 기술이다. DNA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과 아연 이온으로 구성된 분자
기계
로 10개 내외의 염기서열을 인식해 자를 수 있다. 뛰어나고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널리 활용되지 못한 비운의 기술이었다. 김석중 본부장은 “초기에 징크핑거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도구로써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클래스 1은 바이러스를 무장 해제시키기 위해 다양한 캐스 단백질이 필요한 복잡한
기계
에 가깝다. 클래스 2는 더 적은 단백질이 필요하기 때문에 훨씬 간단하다. 처음 유전자 가위 개념을 개발한 샤르팡티에 교수가 이런 시스템을 접하게 됐다. 샤르팡티에 교수가 개발한 유전자 가위 개념이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
2020.10.07
캘리포니아대로 옮겼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특정 DNA만 골라 잘라내는 분자
기계
다.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1년 처음 유전자 가위 개념을 개발했다. 유전자 가위란 마치 책 속 문장을 지웠다가 새로 쓰는 것처럼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골라 잘라내는 신개념 기술이다. 이후 RNA의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실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특정 DNA만 골라 잘라내는 분자
기계
다.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1년 처음 유전자 가위 개념을 개발했다. 유전자 가위란 마치 책 속 문장을 지웠다가 새로 쓰는 것처럼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골라 잘라내는 신개념 기술이다. 이후 RNA의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특정 DNA만 골라 잘라내는 분자
기계
다.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1년 처음 유전자 가위 개념을 발견했다. 유전자 가위란 마치 책 속 문장을 지웠다가 새로 쓰는 것처럼 유전자 특정 부위를 골라 잘라내는 신개념 기술이다. 이후 RNA의 대가인 ... ...
초정밀 측정센서 개발한 김정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개발한 센서 기술은 첨단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위한 초정밀 3차원 형성과 고속의
기계
적 움직임을 측정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원자력발전소 중요시설 모니터링, 지진파나 마그마 움직임 같은 지구 환경 변화의 탐지, 드론 등 저속·소형 비행체의 원격 탐지 등에 응용되고 있다. ... ...
"코로나19 회복 후 '브레인 포그', PTSD일 수도"
연합뉴스
l
2020.10.07
보인 경우가 있었다는 것이다. 코로나19에서 회복된 환자의 경우, 치료 과정에서
기계
호흡(ventilation)이나 기관 내 삽관(intubation)에 의한 호흡 같은 침습적 치료에 대한 무서운 기억이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PTSD는 심리치료(psychotherapy)와 약물치료 등 여러 가지 치료법이 ... ...
삼성, 자율 4족 로봇·혀 미각이론 증명 등 31개 난제에 396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로 반도체 집적도 향상을 꾀한다. ICT 분야에서는 황보제민 KAIST
기계
공학과 교수가 제시한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가는 4족 보행 로봇 기술 연구가 선정됐다. 주철민 연세대 교수는 안구질환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총 63 ... ...
[코로나19 연구속보] “실내에서 2m 떨어져 대화 나눠도 코로나19 감염 가능하다”
2020.10.06
PNAS) 9월25일(현지시각)치에 실렸다. 연구를 주도한 하워드 스톤 프린스턴대 우주
기계
공학과 교수(교신저자)는 “사람들은 자신의 주변에 (코로나19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