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볼
공로
공적
무
구
뽈
성공
d라이브러리
"
공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백10장(3백60KB짜리)이나 되는데 학생들이 이것을 관리하기가 복잡할 뿐더러
공
부할 때도 과목을 바꿀 때마다 일일이 디스켓을 갈아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는 것. 이것을 CD롬 한 장으로 압축하면 이러한 모든 문제는 일거에 사라진다. 이외에도 CD롬 제품에는 인터뷰나 시낭송 등 음성이 추가된다 ... ...
(4)
공
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공
해와 전쟁으로 혹은 자원 고갈의 결과로 인해 자연의 오묘한 조화가 깨진다면 거대한
공
룡류와 익룡류가 겪은 멸망의 전철을 인간이 밟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
3. 64메가 D램 개발
공
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최첨단 반도체인 64메가D램을 서로 먼저 개발했다고
공
을 다투는 삼성과 현대. 그러나 이 제품은 국책과제로 이들과 전자통신연구소가
공
동 ... 발표를 미루고 있는 일본 기업들과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이 제품을
공
동개발하고도
공
을 다투는 국내 기업들, 이들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늙은 구상성단 별들이 모여 있는 것을 성단이라고 부르는데, 약 10만개의 별들이
공
처럼 촘촘히 모인 구상성단과 수백~수천개의 별들이 허술하게 모인 산개성단으로 다시 분류된다. 한성단 내에 있는 별들은 모두 같은 성운에서 태어난 것들이라고 지난 8월호에서 설명한 바 있다.산개성단의 별들을 ... ...
2 침술로 암치료까지 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4%, 폐절제술은 96.5%, 승모판절제술은 95.0%, 삼익침(三翼鍼)에 의한 골절고정술은 96.5%의 성
공
률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또 진유링교수는 침마취 후 직류전기치료를 행해 암을 치료하는 요법을 개발하기도 했다. 백금으로 만든 특수침을 사용, 암세포 부위에 약한 직류전기를 통해 암세포를 죽이는 이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물질의 근본적인 구성요소를 부인하는 것에서도 현대 물리학의 부츠스트랩 철학과
공
통점을 갖고 있다. 불가분(不可分)의 전체이며 그 안에서 모든 현상들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우주 안에는, 어떤 고정된 근본적인 실체가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동양사상에서는 일반적으로 물질의 '기본적 구성체 ... ...
6 인
공
위성 수명 어떻게 결정되나? 태양전지판과 추력장치가 핵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6호의 AKM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정지궤도로 발사시켰다. 최초로 1억 5천만달러 상당의 인
공
위성을 수리 했다는 사실보다 인간이 우주에서 인간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는 사실이 역사적 진보라고 할 수 있다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추출한,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e)이라고 이름붙인 유효성분의 화학구조를 밝히는데 성
공
했다. 이어서 원성분보다 활성이 더 큰 유도체를 만들어냈다. 이 화합물들은 놀랍게도 클로로키니네보다 훨씬 효력이 강하면서도 독성은 오히려 더 적었다. 임상결과 말라리아에 감염된 환자의 90%를 치료했다고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고도로 밀도높은 별의 주변에서의 충돌현상이 빚은 결과이리라고 추측하고 있다.
공
모양의 별무리라고 해서 모두 오래된 것은 아니다. 허블 천체망원경은 타원형 은하계인 NGC1275(우리로부터 2억광년 멀리 있는 카시오페이아 별자리에서 가깝다)에서 '젊은' 구형 별무리들을 발견했다. 이 무리속의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싼 임금과 손쉬운 기술도입으로 성장해온 만큼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역사성과 국민
공
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것이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다. 최고정책 당국자가 전방을 시찰하듯 연구계를 둘러보며 연구원의 애로사항을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작은 관심과 의지표명을 보일 때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