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백신 & 치료제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번 돌리지 않았다. 4월 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생명공학기업 제넥신 유전자생산기술연구소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 백신 개발이 그야말로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코로나 19 백신 & 치료제 Part1. 코로나 19의 방패, 백신 "원숭이에게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람에게 이식하는 이종장기 기술이나 줄기세포로 생체 유사 장기를 만드는 오가노이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 사업단은 원숭이에게 돼지 췌도를 이식하는 이종장기 이식 수술을 진행해 최장 2년 10개월까지 면역억제제 없이 정상 생활을 유지시키는 데 성공한 바 있다. 현재는 ...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안테나 수십~수백 개를 군집 형으로 배열(array)하는 전파간섭계 기술을 이용하는 추세다. 전파망원경 여러 대로 하나의 거대한 전파망원경 효과를 내기 위해서다. 가령 1km 떨어진 전파망원경 두 기를 연결하면 구경이 1km인 전파망원경과 같은 분해능을 갖는다. 이런 가상 망원경을 초장기선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갖춰야 할 조건을 크게 몇가지 꼽았다. 먼저 합격한 선배들이 강조한 첫 번째 조건은 ‘기술(Skill)’이다. NASA 우주인에 선발되려면 과학이나 기술, 공학, 수학 분야(STEM)의 전문성을 입증해야 한다. 이 분야에서 석사학위를 보유하거나 박사과정 2년 이상 재학, 의학 박사 또는 정골요법(추나요법) ... ...
- [인공지능수학] 인공지능 정복을 위한 필수템, 수학과 코딩수학동아 l2020년 05호
- 행동을 대신하는 컴퓨터를 개발하는 연구의 세부 분야예요.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인 딥러닝과 같은 기계학습은 응용수학 분야라고 할 만큼 수학이 매우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데이터는 전부 ‘행렬*’로 표현되고, 알파고가 기보를 학습하듯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학습하고 예측할 때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어과동 키즈, 지사탐 어벤저스 되다! 스파이더맨 이형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답니다. Q 먼저 자기소개를 부탁드려요.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에 재학 중인 이형민입니다. 작년 지사탐 거미 현장 교육이나 수료식에 참가한 친구들은 절 기억할 수도 있겠네요. 지금은 한국거미연구소 회장을 맡아 거미를 채집하고 연구하고 있어요. 고등학교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볼 때마다 궁금했습니다. 100배 줌인데 이미지가 저렇게 선명할 수 있을까. 스마트폰 기술이 아무리 좋아져도 그렇지…. 네, 삼성전자 갤럭시 S20 울트라 얘기 맞습니다. 이미지를 확대 촬영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광학 줌과 디지털 줌. 전자는 렌즈 배열로 초점거리를 조정해 피사체를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민간은행에서 문서를 감정하거나 위조지폐를 판별하기 위해 이미 사용 중인 기술이다. 그러나 손상된 고문서를 복원하는 데 사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일반적으로 빛이 물체에 닿으면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흡수된다. 흡수되는 빛의 양은 물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같은 잉크라면 농도가 ... ...
- [그래도지구는돈당 기호2 김교수]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는 정치신인 영입에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군인, 운동선수, 소방관 등 각계 전문가를 영입해 그들의 지식을 토대로 ...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공학부)도 “전문성이 높고 연구역량이 우수한 과학자들이 과학기술 정책이나 평가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Radzievskii-Paddack effect) 이반 야르콥스키 등 네 명의 과학자가 만든 소행성의 운동을 기술하는 효과. 태양풍 등의 영향을 계산해 태양계 내 소행성의 궤도나 회전 방향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아로코스처럼 쌍으로 존재하는 소행성의 운동을 설명할 때 적합하다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