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지역 접경에서 교류하고 있는 것이고 보면 굳이 어디 산이냐를 따질 필요가 없을 것이다.
다만
우리 것이 더 좋다는 당기는 마음으로 시베리아호랑이와는 어디가 어떻게 다르다느니 한다는 것은 좀 우습다.호랑이 절멸위기 일찍부터 한반도에는 호랑이가 하도 많아 인축이 호환에 시달려 왔다는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분명하나 지금의 잠자리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고시군(古翅群)의 분화가 시작된 석탄기의 끝 무렵에 날개를 접을 수 있는 신시류(新翅類)가 화석으로 출현하기 시작하는데, 이 신시류는 날개를 몸 위에 겁쳐서 좁은 장소에서 활동이 가능케 된다. 따라서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새로 태어난 별이 아니라 별이 종말을 맞으면서 폭발을 일으킨 일종의 '별의 잔해'다.
다만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우리 눈에는 밤하늘에 밝게 빛나는 별로 보일 뿐이다.이번에 초신성은 우리은하로부터 약 1천3백만 광년 떨어진 M81 은하 근처에서 발견됐다. 따라서 실제 폭발은 1천3백만년 전에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아인슈타인은 1911년과 1915년을 제외하고 1910년부터 1922년까지 매년 후보에 올랐다.
다만
해마다 후보가 되는 분과의 이름이 조금씩 달라졌다. 여기서 과학사연구가 파이스의 연구를 중심으로 아인슈타인이 후보로 올랐던 연대와 분과이름, 당시의 다른 후보자와 수상자를 알아보자.1910년 '이론적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꽃가루관은 길이생장을 계속하여 암술대를 통해 씨방으로 가게 된다. 이때 꽃가루관은
다만
하나의 세포가 길게 자라게 된다.이와같은 길이생장은 식물의 줄기나 뿌리가 일정한 생장부위의 세포가 길이생장을 하는 것과는 다르다. 또한 이 꽃가루관의 길이 생장을 하는 세포는 선단부에만 원형질이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정말 충격적인 것이다. 당신은 그 역사를 알기 위해 굳이 천문학자가 되지 않아도 좋다.
다만
달에 관한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된다.그동안 복잡한 천체망원경의 구조와 종류, 조립 및 조작방법을 익혔으므로 이번 달부터 재미있는, 본격적인 실제 관측으로 들어가 보자.갈릴레이부터 시작인류의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사실 도시와 시골 모두에서 화학반응식으로 표현되는 생산과 소비과정이 일어나고 있다.
다만
시골에서는 식량과 산소의 생산과정이, 도시에서는 그것의 소비과정이 상대적으로 우세할 뿐이다. 그리고 남거나 모자라는 것을 서로 주고 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물질교환을 통해서 시골과 도시는 ... ...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번거로움이 따랐다. 그러나 이 메뉴를 사용하면 파일을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원본파일이 지워지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확인을 해온다. 이 때 C를 눌러 continue를 선택하면 된다.지우기(delete)-원하는 파일을 동시에 지워준다. 역시 확인을 해오는데 C를 선택하거나〈엔터〉를 누르면 된다.편집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것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 신비에 대해 과학적으로 확실히 밝혀진 정보는 없다.
다만
빛에 의해 지배받는 어떤 내부 유전시계(internal genetic clock)라는 메커니즘에 의해 오랜 세월 꽃필 준비를 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모죽의 개화시에 땅속의 모든 영양분이 소모되기 때문에 죽아(竹芽)를 포함한 ...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의해 동종이명으로 판명됐다. 이러한 희귀조가 1986년 이후 남한에서 그 자취를 감추었다.
다만
북한의 황해도 일대인 평촌군 인산군 평산군 일원에 적은 개체가 생존하고 있음이 지난 86년 일본 야조회의 초청으로 필자가 일본에 갔을 때 북한 조류학자의 학술보고서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크낙새는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