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튼
페이지
쪽
무명
목화
장
페이쥐
d라이브러리
"
면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촉감 느끼는 로봇 손가락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가장 발달한 것은 사람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로봇을 원격조종해서 물체를 다루게 하
면
사람이 직접 만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이번에 개발된 로봇 손가락은 로봇 스스로 촉감을 느낀다는데 의의가 있다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아닐지라도 그들의 명성은 퇴색되지 않는다. 이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른 측
면
에서 뛰어난 과학적 성취를 이룬 한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자들이다. 오히려 피상적으로 알려진 내용보다 더 값진 연구성과를 거둬 과학기술의 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한국의 과학인물은 그들이 행한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D-, L-, DL-갈락투론산이 있다 저온에서 펠링용액을 환원한다염화수소산과 함께 가열하
면
푸르푸랄을 생성한다락톤과 p-브로모페닐히드라존을 생성하지 않는 점에서 글루쿠론산과는 다르다2세기경 로마 사람 갈레누스(Galenus)가 저술한 의학서(醫學書) 고대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의 저서와 ... ...
1. 원자세계 조작하는 21세기 연금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연결 내지 접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다.여러 분야에서 나노소재기술이 응용되
면
우리 삶의 질에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 나노구조재료의 개발로 구조물의 수명이 연장되고, 재료의 사용량이 줄게 돼 경량화가 이뤄진다. 나노기공과 촉매의 개발로 깨끗한 공기와 물을 유지 관리하게 돼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ns=${10}^{-9}$초) 단위로 느린 단점이 있다. 하지만 금속 나노입자를 유전체 기지에 분산시키
면
피코초(ps, 1ps=${10}^{-12}$초) 이하의 더욱 짧은 응답시간을 얻을 수 있다. 즉 테라헤르츠급의 스위칭 속도가 가능하다는 말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김원목 박사 연구팀은 나노미터 크기의 금속입자가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정도로 깊은 신뢰를 보였다.정약전은 집에서 바늘구멍사진기의 원리를 실험하는가 하
면
, 지전설을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흑산도의 밤하늘을 정밀히 관측해 그 당시 혜성의 궤적을 정확히 묘사하기도 했다.2백년 전을 살다 간 정약전은 그 시대의 과학자였으며‘진정한’선비였다. 앞으로 정약전에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합해 글자를 만드는 결합 형태를 말한다 생산성이 좋아서 한글의 자모 24자를 조합하
면
1만2천여자의 음절을 만들 수 있다낱소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문자로 자음과 모음의 분간이 있는 글자다 한글, 로마자 등이 음소문자에 속한다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과정의 원인들이 동일한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더한다1차원으로 움직이는 양자선 구조에서 전자의 움직임을 한차원 더 구속시키
면
전자의 움직임은 0차원이 된다 이는 전자의 움직임이 없음을 의미하며 어느 한점에 고정돼 있는 것과 같다 이 구조를 양자점 구조라고 한다 전자의 움직임이 모든 방향으로 구속돼 있으므로 전자의 에너지는 모든 ... ...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수 있는 나노소재기술을 이용한 상전이법은, 매우 작거나 기공이 거의 없는 얇은 표
면
층과 다공성인 하부구조로 된 기체 분리막에서부터 수십μm 크기의 기공으로 형성된 정밀여과막까지 다양한 제조가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거의 대부분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어 분리막의 화학적 성질을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인간배아복제를 허용하자는 의견으로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돌리의 사망을 바라보
면
서 과연 인간배아복제가 안전한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권혁찬 원장은“인간배아복제를 서둘러 허용할 것이 아니라, 동물 실험을 거쳐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순서”라고 주장한다. 당장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