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위한 통로와 대기실 등이 덧붙여졌다. 권력과 힘을 과시하며 여러 공연을 즐겼던 로마
시대
의 모습을 상상해 보았다.건축물 박물관, 이탈리아!세계 여러 나라 중 이탈리아만큼 도시마다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볼 수 있는 곳도 드물다. 그 중에서도 로마는 그리스로부터 이어진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볼 수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책이기 때문이지. ‘독서를 하는 사람이 리더가 된다’라는 말처럼 독서의 중요성은
시대
가 바뀌고 신기술이 쏟아져도 바뀌지 않거든. 마이크로소프트의 회장이었던 빌 게이츠도 자녀들이 숙제할 때 빼곤 컴퓨터를 거의 못 쓰게 했대. 어릴 때 전자기기를 사용하면 좋지 않은 점이 더 많아서지. ... ...
눈이 귀보다 빨리 늙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 결과 1971년에 태어난 돼지띠 남성은 94세, 여성은 96세까지 살 수 있다고 한다. 100세
시대
가 펼쳐진 지금, 줄기세포와 성장호르몬 등을 이용한 항노화제품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하게, 젊게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다. 하지만 노화는 늦출 수는 있어도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겪을 기후변화 영향은 물론, 그 피해와 대비책을 상세히 전망할 수 있다. 기후 변화
시대
에 우리 일상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토대가 되는 것은 물론이다.예측할 수 없는 것을 예측해 생활을 디자인한다김 교수가 이렇게 수문학과 기후변화 연구 분야에 뛰어든 계기 역시 순전히 물의 매력에 빠져서다 ... ...
한반도 공룡 습격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래픽과 합치는 ‘애니메트로닉스’ 특수촬영 기법을 사용했지. 게다가 백악기 공룡
시대
를 완벽하게 재현한 배경은 뉴질랜드를 5개월 동안 샅샅이 뒤져 찾아낸 풍경이란다.또 우리의 모습은 오랫동안 공룡을 연구해 오신 한국공룡연구센터의 허민 교수님의 고증을 거쳤어. 허민 교수님은 8500만 년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우주배경복사 이후 수소원자가 만들어지며 우주가 냉각돼 가시광선이 사라졌던 암흑
시대
(dark age)와 별의 핵융합 반응과 폭발로 우주가 다시 가열돼 원소가 이온으로 되는 재이온화 영역에 대한 실마리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최초의 별과 최초의 은하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올해 6월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다. 유럽과 아시아인들에게 각각 다른 의미로 다가오기는 하지만 역사적으로는 대항해
시대
를 연 기념비 같은 곳이다.인간은 도시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정글을 헤치는 것도 신나지만 낯선 이국의 거리를 걸으며 커피 한 잔의 사치를 누리고 싶다. 더구나 오래된 도시에는 조상의 흔적이 켜켜이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음에도 화학과에서 뽑아주지 않았던 것. 지금이야 학문간 융합
시대
이지만 당시만 해도 순혈(純血)주의가 뿌리 깊던 시절이었다.결국 그는 학부생만 있는 한국과학기술대 화학과에 취직했다. 한국과학기술대가 KAIST(당시에는 대학원 과정만 있었다)와 통합될 가능성이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불꽃’ 원전은 인간의 통제력을 벗어난 괴물이 돼 버린 것이다.‘꺼지지 않는 불꽃’
시대
는 끝났다‘잘 안 타는 불쏘시개이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주장은 얼핏 궤변 같다. ‘돌은 석탄처럼 탈 수 없기 때문에 산불을 낼 위험도 없다’는 것과 같은 논리로 들린다.적어도 토륨을 ‘또 하나의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어요?건설환경공학은 모든 공학의 시조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전통적인 학문 분야다.
시대
적 요구에 따라 학과 이름도 종종 바뀌었다. 서울대는 토목공학과로 출발했다가 건설환경공학도시가 발달하면서 도시공학부로 분리됐다. 지구환경이 중요해지면서 환경이라는 이름이 추가됐다. 그 후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