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토뉴스] 바다 생태계 균형 수학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남획과 지구온난화로 개체수가 줄어들며 멸종위기에 처한 어종이 늘고 있는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가 나섰습니다. 마이클 플랭크 뉴질랜드 캔터베리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생명다양성을 잘 유지하도록 어획량을 계획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적정한 어획량을 계산하기 ... ...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서던크로스대 지구과학과와 미국 마운트 사이나이 아이칸 의대 공동 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테르크폰테인 동굴에서 발견된 200만 년 전 고대 인류의 치아를 분석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의 식습관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5일자에 발표했다 ...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연구하기 위해 마련한 거처다. 정확히는 사육실에 가깝다. 우리는 수억 년 전부터 지구에서 살고 있는데, 고작 100만 년 전에 나타난 인간들이 우리를 너무 싫어한 탓에 여기서 연구 대상으로 사육되고 있다. 작고 여린 우리들은 주둥이 끝부터 꼬리 끝까지 이곳에서 낱낱이 파헤쳐지고 있다.여기 ... ...
- 인도, 달 향한 꿈 쏜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2호를 싣고 발사를 준비 중인 GSLV MK III은 PSLV를 개량한 것으로, 최대 4t(톤)급 대형위성을 지구 상공 3만6000km의 정지궤도에 올릴 수 있다. 인도는 2022~2023년 이를 이용해 ‘망갈리안 2호’를 발사할 계획도 갖고 있다. 한국도 인도처럼 독자적으로 우주발사체 ‘누리호’를 개발해 달 탐사를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단백질 결정 성장 실험이 가장 좋았다”고 답했다. 우주에서는 중력이 작용하는 지구에 비해 단백질이 더 크고 균일한, 질 좋은 결정으로 성장한다. 그는 그밖에도 다양한 실험을 했다. 자기장을 이용해서 식물의 뿌리를 한 방향으로 자라게 하는 실험과 미래 우주선이나 우주정거장에 사용할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포항 단층에 줄 수 있는 영향을 계산한 결과 200~500Pa(파스칼)정도로 나왔어요. 이는 매일 지구의 조석 운동(밀물과 썰물)에 의해 미치는 힘의 변화량과 비슷한 수준이죠. 물을 주입하면서 생긴 작은 지진들이 진원 근처에 준 수압 변화는 2만~15만Pa 정도이니 최소 수십 배 큰 것이지요. Q앞으로 더 ... ...
- [인포그래픽] 세계의 유인잠수정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존재할 수 있을까.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그간 인류는 심해 탐사를 통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바다에서 탄생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심해가 유용한 광물과 생물자원의 노다지라는 점도 확인했다. 이에 따라 각국의 심해 탐사 경쟁은 시간이 지날수록 치열해졌다. 특히 유인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깨끗한 환경을 지켜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석탄, 석유 등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탄소 에너지원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체물질로 수소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수소는 가연성이 높아 장거리 수송이 어렵고 액체로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보면 시나리오도 바뀌고 이에 맞춰 캐릭터 디자인도 바뀔 수 있다”며 “애니메이터에게 지구력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김 감독은 할리우드 배우 짐 캐리가 2014년 미국 마하리시대 졸업식 축사에서 했던 말을 인용하며 애니메이터를 꿈꾸는 대한민국 청소년들에게 응원을 보냈다. “좋아하는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아주 상세히 다뤘다. 그 영향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본은 얼마 지나지 않아 고성능 지구관측위성시스템 구축 계획을 수립했다. 당시 계획한 위성들이 지금까지도 우주 궤도를 돌고 있다. 국내에 미친 파장도 적지 않았다. ‘도대체 그동안 우리는 무엇을 했나’ ‘한국도 조속히 우주 개발을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