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CNU세일-1을 보고도 한참 찾았다). CNU세일-1은 가로세로 각각 10cm에 높이는 약 30cm인 큐브샛 형태를 하고 있다. 무게는 4kg. 돛의 면적은 가정용 돗자리 두 개를 펼친 것과 비슷한 4m2로 작지 않지만, 발사 전이라 큐브샛 안에 고이 접혀 보이지 않았다.추가 연료 없이 우주쓰레기 막는 ‘항력 돛’“심우주 ...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주 특별한 것으로, 쿠트나호라이트(Kutnahorite, 능망간석과 방해석의 중간형 광물) 결정형태가 잘 유지된 상태에서 침철석으로 치환됐다. 특히 세계적으로 유명한 광물수집가인 마셜 서스먼의 나미비아 수집품 가운데 대표적인 표본으로 희귀성과 완벽성에서 빼어나다. 최근 ‘꽃보다 청춘’에서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초기 제품에는 커다란 팬이 달려 있었어요. 이걸 과감히 줄였습니다. 대신 표면을 빗살 형태로 설계했죠.” 자동차 엔진의 공랭식 냉각기나 컴퓨터 속 방열판처럼 표면적을 넓혀 발열 기능을 좋게 만든 것이다. 기술에 대한 모든 것을 꿰뚫어야겠다는 기자의 말에, 정 교수는 “기술이 반영되지 ...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잉크와, 이 잉크를 사용해 인공조직을 찍어낼 3D프린터를 직접 만들었어요. 이 3D프린터는 형태를 잡아 주는 재료와 인공조직 재료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모양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답니다. 또한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해 조직의 모양을 정교한 그래픽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도 개발했지요 ...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나눠진 부분이 있어요. 잎맥은 가지 쪽에서 동시에 여러 개가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예요.여름이 되면 생강나무에 작은 콩처럼 생긴 초록색 열매가 열려요. 꽃처럼 가지에 붙어 꼿꼿하게 서 있지요. 익으면서 점점 자주색으로 변하고 9월이 되면 검은색을 띠어요. 이 열매는 먹는 기름을 짜는 데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감마선 폭발이 어떤 환경에서 일어나는지 알려준다. 이를 통해 폭발체가 속한 은하의 형태와 온도, 밀도, 색깔, 금속함량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세 가지 신호를 종합하면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빛을 내는 사건, 감마선 폭발에 대해 알 수 있다. 그런데 감마선 폭발은 그 자체로도 천문학계의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회전 반경은 더 커진다. 이 때문에 총알은 폭발하듯 뼈를 빠져나오면서 크고 불규칙한 형태의 출구를 만들어낸다(아래 그림). 입구에서 시작된 방사형 골절은 많은 경우 총알보다 빨리 출구 근처에 도달해 뼈를 손상시키곤 하는데 이 경우 출구쪽의 파손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뼈에 여러 개의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부르는 충격파가 발생한다. 이 충격파 에너지가 공기의 밀도를 변화시키면서 음파 형태로 땅까지 전파된다. 연구팀은 진주운석이 직선으로 떨어졌다고 가정하고 기록된 음파를 토대로 궤적을 역으로 추정했다. 그 결과, 태안반도 상공에서 입사각 44°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블랙박스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받았다”고 설명했다.센서도 신경을 썼다. 해양조사선에서 센서는 ‘눈’이다. 해저면의 형태와 수심, 지각 구조 등을 모두 배 바닥에 달린 여러 가지 센서에 의존해 연구한다. 이사부호는 특별히 이런 눈이 ‘툭’ 튀어나와 있다. 센서가 배바닥으로부터 4m 가량 더 내려갈 수 있도록 설계한 것.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한계는 있어서 완전하게 시력을 회복하지는 못했어요. 그래도 실명환자들이 사물의 형태와 색,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커요. 이제 과학자들은 시각의 어떤 부분이 선천적인지, 또 어떤 부분이 경험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답니다. 혀로도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