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짜뉴스라는 사실을 오래 기억하게 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나디아 브레이시어 미국 하버드대 심리
학과
연구원은 "제목을 보고 스스로 판단하게 한 후 나중에 피드백을 주면 그 정보가 머릿속에 오래 남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 ...
이스라엘 백신 2차 접종이 주는 '실낱 희망'…감염률 0.015% 효능 95% 웃돌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20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감염률로 따지면 0.015%다. 시릴 코헨 이스라엘 바일란대 면역
학과
교수는 “조사 기간 일반 인구의 감염률은 0.65%였다”며 “만약 이스라엘 사회가 불완전한 통제 집단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백신의 효능은 화이자 측이 제시한 95%를 살짝 웃도는 ... ...
"코로나 백신 효과 입증 첫 단서 이스라엘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4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나탈리 딘 미국 플로리라대 생물통계
학과
교수는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까지 감염 예방 효과를 얻으려면 충분한 사람들이 면역을 가져야 한다”며 “이스라엘은 백신의 이런 간접적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스라엘은 ... ...
[인간 행동의 진화] 열대어의 화려함은 투쟁의 산물
2021.01.24
제공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
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
학과
에서 진화인류학 및 진화의학을 강의하며, 정신장애의 진화적 원인을 연구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에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류와 질병'을 연재했다. 번역서로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 ...
우연히 만난 운명의 벌레가 ‘갈로아’를 만들다
2021.01.23
움직이는 곤충에 더 마음이 기울었고, 마침내 서강대 생명과
학과
에 진학했다. 대신 지질
학과
친구를 따라다니며 화석 캐는 일을 도우며 화석을 접했다. 그러던 중 친구가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지질학자가 많다는 얘기를 했다. 행성 표면과 돌덩이 연구에 지질학자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이었다. ... ...
[주말N수학] “수포자’였지만 지금은 AI 연구자”
수학동아
l
2021.01.23
상담소 '수담수담'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첫 번째 멘토 | 남호성 고려대 영어영문
학과
교수 주제 | 수학의 쓸모 온라인 클래스 일시 | 2021년 1월 26일 화요일 저녁 7시 참여 방법 |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에서 참여 https://www.youtube.com/channel/UCkOf2vSIKN9aoqmYnrjwrKA 진행 방식 | 20분간의 짧은 강연 후 ... ...
[의학게시판] 복지부, 사회서비스원 코로나19 긴급돌봄 사업 시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는 19일 ‘2021년 사회서비스원 코로나19 긴급돌봄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사회서비스원이 요양보호사 등 ... 의학계 원로들이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박 이사장과 최 교수는 각각 간담췌외과
학과
영상 의학 발전에 공로를 인정받았다 ... ...
[팩트체크] 월성 원전 삼중수소 논란 핵심 쟁점 뜯어보니(종합)
2021.01.18
연관성에 대해서도 부풀려진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
학과
명예교수로 세계적인 핵물리학 분야 석학인 웨이드 앨리슨 교수의 저서 ‘방사선과 이성(Radiation and reason)’을 근거로 들며 “인체 피폭량이 연간 1밀리시버트 이하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월성 원전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월 1일 오전 7시 55분(현지시간) 결국 붕괴됐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60여년 동안 천문
학과
행성과학의 첨병이 돼온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마지막 모습이 장식했다. 지난해 12월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은 케이블 고장으로 무너져 내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철거가 확정됐을 당시 마이클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마이크로보트나 나노자동차에 비하면 크기가 거대하다. 박훈철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
학과
교수는 “공중을 비행하는 건 땅이나 물 위를 달리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소형항공기의 경우 앞뒤로 움직이는 추력에 더해 중력을 이겨낼 수 있는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