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활"(으)로 총 7,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보다 비중이 작은 물체는 물 위에 뜬다.미세플라스틱은 치약에 들어 있을 만큼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바닷물로 흘러들어간 이후에는 바다동물들의 건강을 위협해요. 헤엄을 치거나 먹이를 먹을 때 미세플라스틱도 함께 몸으로 들어가는데, 몸에 한 번 들어오면 밖으로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엔트로피를 이용해 열역학 제2 법칙을 증명할 수 있니?’수상한 동아리 가입조건대학 생활의 꽃은 동아리! 갓 신입생이 된 주인공은 동아리에 가입하려고 한다. 어떤 동아리에 가입할까 둘러보는데, 으응? 동아리 가입조건이 이상하다!보통 공과대학의 여학생 수는 매우 적다. 최공대학교도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한다. 치열한 경쟁 끝에 선발된 학생 수십 명은 기숙사와 생활비를 지원받으며 DGIST에서 여름을 보낸다. 올해는 홍콩, 스웨덴, 폴란드 등 외국 대학의 학생들도 참가하고 있다.손상혁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펠로우의 실험실을 찾은 세 학생은 저마다 DGIST에 온 이유가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0~24cm 정도이며 12개의 깃털로 이루어진 ‘V’ 모양 꼬리를 갖고 있죠. 하지만 깃털 색이나 생활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답니다.그 중에서 ‘흥부놀부전’에 등장한 우리나라 제비는 ‘참새목 제비과’에 속하는 ‘제비’라는 종이에요. 이 종은 다시 6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특히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둥글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지구는 왜 둥글까? 또는 지구가 다른 모양이라면 우리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엉뚱한 상상! 만약 지구가 도넛 모양이라면?인공위성으로 지구를 찍을 수 없었던 아주 오래전 사람, 또는 음모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지구가 공 모양이 아닌 편평한 원반 또는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야기를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과연 실제로도 그럴까? 통계포스터 만들기는 생활 속에서 궁금한 주제를 잡아 조사하고 분석한 다음 포스터를 만들어 발표하는 프로젝트다.실제로 대구 영남중 학생들은 라면에 얽힌 속설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했다. 물의 양, 조리 시간 등 다른 조건을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데, 앞으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모두 설치할 예정이다.다른 방법으로는 생활하수를 정화조에서 3~7일 동안 썩히지 않고 즉시 거르는 방법이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정화조 초입에 침전조를 붙여서 30분 동안 오물을 가라앉히고, 가라앉힌 오물만 정화조로 넣고 위로 뜬 물은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세기 인공지능에게 센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예요. 로봇이나 무인기, 스마트폰 등 사람의 생활을 돕는 인공지능 기기는 센서가 있어야만 외부의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그에 맞게 대응할 수 있거든요. 사람으로 치면 카메라와 레이저는 인공지능의 눈, 마이크와 음성인식 센서는 귀, 단어 합성 능력과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큰 영향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증언자 대부분은 의사로부터 수술 후 14일이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안내를 받았다. 실제로 수술 후 기증자들의 간수치(간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지 알 수 있는 수치)는 대개 정상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왜 고통을 느끼는 기증자가 있는 걸까.관련 연구가 부족하기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무기물이지만, 생성 환경에 대한 숨겨진 비밀을 간직하고 보여 준다.광물은 우리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자원일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지닌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은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신비롭다”, “신기하다”, “아름답다”는 감탄사에서 ‘어떻게’라는 질문으로이어지게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