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헌신이 없었다면 ITER 건설은 현실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ITER가 완공된 이후에는 ITER를 이용해 회원국이 개별 또는 협력해 실험을 진행한다. ITER 회원국의 궁극적인 임무는 하나다. 핵융합 에너지를 통해 인류에 기여하는 것이다. Q. 국제 협력 관점에서 ITER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그 어떤 국가도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홍석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선행기술연구센터 DEMO기술연구부 부장은 “블랭킷을 이용한 삼중수소 공급 시스템은 ITER에 처음으로 적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려면 건설된 발전소를 더 오래, 안전하게 활용하게 하는 기술도 뒷받침돼야 한다.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기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금속을 찾는 것. 여러 시도 끝에 탄소와 결합하기 쉬운 물질 중 하나인 실리콘(Si)을 이용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다음 과제는 실리콘과 구리를 합금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우리는 그래핀이 합성되는 석영관(SiO2)에 실리콘이 포함됐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필요한 준비물은 ... ...
- [수학체험실] 튜브야 내 몸을 부탁해~ 토러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튜브라는 단어를 들으면 물놀이가 가장 먼저 생각나지만, 추운 겨울에도 해난 사고가 잦아 구조를 위한 구명 튜브가 필수죠. 그렇다면 나이대별 ... 약 27cm로 처음 만든 원기둥 높이와 같다. 즉 토러스의 부피는 원기둥의 부피와 같다. 이를 이용해 토러스의 부피를 구하는 식을 세울 수 있다 ... ...
- [한페이지 뉴스] 물고기, ‘칼군무’로 에너지 비축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막스플랑크 동물행동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물고기처럼 헤엄치는 생체모방로봇을 이용해 물고기가 떼 지어 헤엄치는 모습을 재현했다. 연구팀은 로봇이 혼자 헤엄칠 때와 쌍으로 헤엄칠 때 형성되는 소용돌이와 로봇의 에너지 소비량을 각각 측정해 비교했다. 로봇물고기의 에너지 소비량은 ... ...
- 손난로 유니버스, 최강자를 가려보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물과 산소로 분해되는 반응을 촉진합니다. 이 분해 반응에서 열이 발생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 과탄산소듐 속 과산화수소를 채소 속 카탈레이스와 반응시켜 손난로를 만드는거죠! 채소를 갈면 카탈레이스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 채소 중에서도 강판에 좀 더 쉽게 갈 수 있는 고구마,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합니다. ‘달고나 활’을 들고서요. 이 활은 정확히 말하자면 당류가공품인 레진을 이용한 것입니다. 기주 님은 “사실 이 작품은 실패작”이라고 고백했습니다. 실제로 활의 한 면은 굉장히 멋진 활 모양인데, 뒤집어 보니 완전 평면이었습니다. 기주 님은 “작품과 밑면 틀이 들러붙어서 어쩔 수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실제 전기 생산까지 실증 가능한 시설이다. 우리나라는 KSTAR를 이용해 고온의 중수소 플라스마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동시에 ITER 운전을 통해 핵융합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고온 플라스마 상태에서 스스로 연소하도록 하는, 즉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목된 이산화탄소는 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합니다. 핵분열 반응을 이용하는 원자력 발전소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여기서 배출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긴 시간 동안 남아 장기적으로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면 핵융합 발전소에서는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나 역시 그중 하나였다”며 “당시 나는 대학원생이었는데, 화학생명공학 분야에도 AI를 이용한 연구결과들이 속속 나오는 걸 보고 공부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그렇게 코딩이라는 걸 처음 접하게 됐고, 2017년 캐글에 입문했다. ‘일단 부딪쳐 보는 스타일’이라는 이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