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d라이브러리
"
작업
"(으)로 총 3,8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번 프로젝트도 예외는 아니다. 첫 시도인 만큼 작가와 과학자 간에 좀 더 긴밀한 공동
작업
모델을 제시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전시를 통해 예술과 과학의 만남을 이야기하는 것이 단순히 과학기술매체를 이용한 작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술과 과학의 진정한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하나의 비트에 100~200개 정도 박아 만든 것이다 다이아몬드 비트(bit)를 사용하여 굴착하는
작업
일반 광산에서 흔히 사용하는 회전식 시추로서, 탐광을 목적으로 하는 시추 외에도 갱내에 수갱(竪坑) · 통기공 · 배수공 등을 설치하거나 갱도굴진을 위한 선진시추(先進試錐)에 응용되고 있다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분야는 생명과학으로, 북극 생물의 생태를 관찰하고 미생물이나 조류 등을 채집하는
작업
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요.잊지 못할 북극의 백야북극에서 생활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잊을 수 없는 현상 중 하나가 바로‘백야’입니다. 처음 북극에 도착하면 시차 적응이 잘 되지 않아 한밤중에도 잠을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앞으로 수십 년 뒤의 태풍이 가지게 될 경향을 예측하는
작업
을 했는데 결과는 놀라웠다. 지구온난화로 바다가 따뜻해지면 바다에서 태어나는 태풍의 힘도 강해지고,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한 해일 피해도 많이 발생할 거라고 한다. 우리 어린이들이 살아가게 될 가까운 ... ...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김승기 조장을 만나 보았어.Q 아산공장에서 하루에 생산하는 자동차는 몇 대인가요?A
작업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24시간 생산 라인을 가동할 경우 하루에 1500대 이상의 승용차를 생산할 수 있답니다.Q 정말 놀라운데요. 어떻게 그렇게 많은 자동차를 만들 수 있는 거지요?A 자동화 라인이 잘 되어 있기 ... ...
현대 과학으로도 풀 수 없는 신비한 ‘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돌아가신 아버지 성덕왕을 기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했다는 성덕대왕 신종. 종을 만드는
작업
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34년이 지난 771년 경덕왕의 아들인 혜공왕 때 비로소 완성되었다고 해요. ‘에밀레종’이라는 이름이 붙게 한 슬픈 전설이 나온 이유도 맑은 종소리를 내는 게 무척 힘든 일이었기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훗날 취리히 연방 공대 교수로 있으면서 나와 함께 일반상대성이론을 만들기 위한 공동
작업
을 했단다. 마찬가지로 대학동창이었던 베소는 나의 생각을 가장 잘 이해해 주는 친구였어. 나는 그와 토론하는 도중에도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었지. 내가 상대성이론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1913년 록펠러의학연구소에서 알폰스 도체스와 폐렴구균 박테리아의 면역학적 분류
작업
을 시작했다. 그런데 그리피스의 1928년 논문은 에이버리에게 새로운 연구 영역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그리피스의 결과에 회의적이었지만 직접 실험한 결과 그리피스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노력 ... ...
소행성 끄는 중력 트랙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20년 전부터
작업
을 시작해야 한다. 연구진은 “현재의 화학연료 엔진으로는 이런
작업
이 어려워 원자력을 이용한 이온추진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지금까지 지구에 돌진하는 소행성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소행성을 폭탄으로 폭파하거나 우주선으로 소행성을 밀어내는 방법이 제안됐다. 그러나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않는다는 얘기다.접힌 생김새 말고 기능단위를 기본으로 영역을 나눠 번호를 붙이는
작업
이 지금부터 꼭 100년 전인 1905년 독일의 서북지역 라인강변에서 이뤄졌다. 독일 뇌연구소 브로드만 박사는 죽은 사람 뇌에서 신경세포를 염색한 수만 장의 영상을 현미경으로 일일이 조사하고 신경세포가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