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
간접
중위
도중
중도
반도
가운데
d라이브러리
"
중간
"(으)로 총 2,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옥빛 물결에 잠긴 대정원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어라연 계곡이 나타난다. 물길 앞쪽에 칼날 같은 암석이 있는데, 이곳에 오르면 강물
중간
에 소나무가 올라 붙은 집채만한 3개의 바위가 보인다. 옥빛 동강 위에 수석이 조화를 이뤄 마치 하나의 거대한 수상 정원을 형성한 자태다. 그야말로 신선이나 볼 수 있는 선경(仙境) 그 자체다.옛날 이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물이 얼면 고체의 물분자들은 수소결합에 의해 육각형 모양의 고리를 만들기 때문에
중간
에 빈 공간이 많이 생긴다. 이에 비해 분자들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액체의 물에서는 그런 모양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빈 공간이 줄어든다. 고체 물분자가 액체 물분자보다 부피가 커지는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미라는 피라미드 밑의 땅 속에 묻혔다. 쿠푸왕의 피라미드 경우 묘실로 가는 통로가
중간
에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이 가운데 한 갈래는 지하로 이어진다. 이것은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땅 속의 가짜 묘실로 인도하는 일종의 속임수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미라를 땅 속에 묻던 방식의 잔재이기도 ... ...
아날로그와 디지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오는 1과 그 다음에 오는 0은 여간해서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0V와 5V의
중간
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까지는 신호가 왜곡되더라도 1이 0으로 바뀌는 일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으며 혹시 부분적으로 변질되더라도 전후관계를 이용해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도입하면서 고층구조물은 다양한 형식으로 탄생하고 있다. 두 개 이상의 고층건물을
중간
이나 상부에서 서로 묶어 다양한 공간을 연출하고 서로 역학적으로 연결된 메가 프레임을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홍콩의 홍콩은행 건물은 4개의 메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4-7개층을 묶어 달아맨 형태의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있는 꽃차례(花序)이다. 꽃차례는 수꽃(위), 꽃가루를 날라줄 곤충에게 제공할 영양분(
중간
), 그리고 암꽃(아래)으로 이뤄져 있다(그림1). 그런데 꽃차례가 열을 내는 기간은 수꽃과 암꽃이 수분가능한 18-24시간과 일치한다. 결국 필로덴드론 셀로움은 이 기간에 딱정벌레가 들어와 편하게 지낼 수 있는 ... ...
광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차이로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정보를 소거할 때에는 기록 레이저와 재생 레이저의
중간
파워의 레이저가 사용된다. 비정질 부분은 소거용 레이저 빔을 쏘이면 에너지를 얻음으로써 원자들이 안정한 자리를 찾아가 규칙적인 결정 구조로 바뀌면서 정보가 소거된다.그런데 CD-R은 반사율의 차이가 ... ...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해석하면 기록된 정보가 재생되는 것이다.테이프에서 디스크로녹음 테이프의 경우,
중간
에 녹음된 곡을 듣기 위해서는 원하는 위치까지 테이프를 감아주어야는 불편한 점이 있다. 비디오테이프도 마찬가지이다. 초기의 컴퓨터에서도 테이프를 이용해 데이터 입출력을 했는데, 처리속도를 생명으로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D=$\frac{{log}^{4}}{{log}^{3}}$=1.2618 차원이 된다. 선도 아니고 평면의 차원도 아닌 이들의
중간
차원이다. 우리의 상식으로는 1차원의 선들을 연결했으므로 1차원이어야 한다. 코흐곡선의 길이의 합은 무한히 늘어나지만 일정한 면적을 갖는 원래 정삼각형의 외접원 반경안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머무는 별자리다. 처녀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해서는 자정 무렵 남쪽 지평선과 천정의
중간
지점에서 빛나는 1등성 스피카부터 찾아야 한다. 북두칠성 손잡이와 아크투루스를 연결하는 원호의 연장선으로도 스피카를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 곡선이 '봄철의 대곡선'으로 봄철 별자리를 찾아보는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