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지구를 떠나려면?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태양
계 밖에는 무엇이 있을까? 1972년 지구 최초로 파이어니어 10호가
태양
계 너머를 향해 출발했다. 하지만 파이어니어는
태양
계를 벗어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 있다. 바로 탈출 속도다. 어떤 물체가 항성(또는 행성)의 중력장을 벗어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속도를 탈출 속도라고 한다. ...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날지만 구름의 높이는 종류마다 다르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구름은 땅과 바다에서
태양
열을 받아 데워진 공기가 상승하며 생긴다. 천천히 올라갈 때는 층운형 구름이 되고, 바람이 불어 산을 따라 급하게 올라가면 적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찬 공기가 더운 공기 밑을 파고들어 더운 공기가 ... ...
한국의 인공
태양
, 세계의
태양
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포기할 수 없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핵융합에서 나오는 엄청난 에너지다. 핵융합은
태양
이 에너지를 내는 원리와 같다. 가벼운 수소(H) 원자핵들이 융합해 헬륨(He) 원자핵으로 변하면서 줄어든 질량이 막대한 양의 에너지(단위반응 당 17.6MeV)로 바뀐다. 게다가 원료인 중수소는 바닷물에 풍부하게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구에서 떨어져 나갔다는 기존 학설 역시 부정했다. 달에 있는 물 성분을 조사한 결과
태양
계 외부에서 혜성과 충돌해 생겼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 테일러 교수팀의 주장이다.테일러 교수는 “달에 있는 물은 지구와 생성 원인이 다르고, 수소와 산소로 분리돼 있어 우주선 연료를 충전할 수도 있을 ... ...
별보다 뜨거운 ‘불지옥’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태양
보다 30% 정도 더 뜨겁다”고 설명했다. 행성은 항성과 가까울수록 온도가 높다. 지구
태양
계에서 가장 별과 가장 가까운 수성은 평균기온이 170℃이고 지역에 따라 최고 400℃까지 오른다 ... ...
폐품으로 만든
태양
광 로봇 쏠라 로버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전의 효율을 높인다. 폐품을 활용해 차를 만든 점도 돋보인다.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
광을 배우면서 작게나마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다. 캔, 우유팩, 페트병 등으로 자신만의 차를 완성해 보자. 초등학생 이상이라면 혼자서도 만들 수 있다. 지금은 친환경이 대세!최근 친환경 정책은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동한 거리만큼 달도 더 이동해야 하므로 삭망월은 달의 실제 공전 주기가 아니다. 별은
태양
보다 멀리 떨어져 있어 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별을 이용하면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돈 실제 공전 주기를 알 수 있다. 별을 기준으로 정한 달의 공전 주기를 항성월이라고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안에서 반사가 여러 번 일어날 때 무지개의 색깔 배열이나 각은 달라진다. 관찰자가
태양
과 물방울이 있는 곳 사이에 있다면 무지개는 물방울 지역을 통과하는 원뿔 모양으로 보인다. 아하! 생각이 쑥쑥!무지개를 사랑한 선조 무지개의 아름다움에 대한 동경을 나타내듯 우리나라의 전통 ... ...
태양
계 탐사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이저 1호가
태양
계의 끝에 있다는 소식을 지난해 12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표했다. 1959년 소련이 스푸트니크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린 후 인류는 수많은 탐사선을 우주로 쏘아 올렸다. 지금도 많은 탐사선이
태양
계를 탐사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탐사선을 정리했다.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다. 사탕수수가 많이 나는 아프리카 차드에서는 사탕수수 연료를 만들고 인도에서는
태양
열 랜턴을 개발하는 식으로 그나라 사람들이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을 개발해 보급한다. ➊ 2009년 한국대학사회 봉사협의회 소속 대학생들이 필리핀 민다나오에서 실험교실을 열고 기념사진을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